전체메뉴 검색
건설

1차 착륙→충돌, 의문의 9분…"반대 방향 착륙 합의"

김광미 기자 2025-01-01 16:39:27

국토부 참사 브리핑…"관제사 비정상 상황 인지"

사고기 비행기록장치 미국 이송돼 분석 예정

전날부터 국토부·미국 NTSB 합동 현장 조사 중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이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수습 상황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국토교통부]
[이코노믹데일리] 제주항공 참사에 대해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고기의 1차 착륙부터 충돌 사고까지 최후의 9분이 원인을 규명할 핵심 사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는 사고기가 당시 19활주로 반대 방향으로 착륙한 경위에 대해 "조종사와 관제사 간 합의된 사안이었다"고 밝혔다. 

1일 국토교통부는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을 열었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조종사가 (1차 착륙 실패 후) 복행(착륙 포기 후 재상승)을 시도하면서 우측으로 선회했고 그 과정에서 관제사가 뭔가 비정상적인 상황임을 알고 있었다"며 "(관제사는) 그때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안내했고 조종사가 그렇게 하겠다고 해서 상호합의돼 착륙을 시도하는 과정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앞서 사고기인 제주항공7C2216편은 지난 12월 29일 오전 8시 54분 전남 무안국제공항 01활주로에 1차 착륙을 시도했다. 관제탑은 3분 뒤 오전 8시 57분 여객기에 조류활동 경고 보냈으나 조류 충돌을 피하지 못했고, 기장은 2분 뒤 구조신호(메이데이)와 함께 복행을 시도했다. 

사고기는 오전 9시 착륙 방향의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로 동체착륙을 했고 3분 뒤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둔덕에 부딪히며 폭발했다. 

유 정책관은 "(2차 착륙 직전인) 9시 1분 이후에도 일부 교신이 있었고, 조종사와 관제사가 서로 의도하는 바를 교신 시도하는 것들이 있었다"면서 "정상적으로 이뤄졌는지는 사고조사를 거쳐 확인할 부분이다. 비상 주파수는 평시에 늘 작동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 원인 규명은 1차 착륙을 시도했던 시점부터 최종 충돌까지 9분에 초점을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작년 12월 29일 사고 당일 브리핑에서 19활주로 착륙에 대해 "조종사의 판단인지, 관제탑의 지시인지 추후 교신내용 등을 분석해 규명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유 정책관은 이날 "음성기록장치(CVR)에 저장된 자료 추출을 완료했고 오늘 음성파일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에 착수한다"며 "커넥터가 분실된 비행자료기록장치(FDR)는 외관상 저장장치 내 자료 훼손 가능성이 작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해당 사고기의 비행기록장치는 미국으로 이송돼 분석될 예정이다.

한편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와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전날인 12월 31일부터 무안국제공항에서 참사 원인을 조사 중이다. 한미 합동조사단은 사고기의 엔진과 공항 내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 등을 살펴보며 사고의 실마리를 찾는데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원인에 대해 한쪽 엔진 폭발에서부터 유압시스템 고장으로 인한 랜딩기어 미작동 등 여러 의견이 나오면서 향후 조사를 통해 가려질 전망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