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생활경제

'패션 쓴맛' 본 신세계인터, 자체 브랜드 키워 '단맛' 찾는다

김아령 기자 2024-05-30 06:00:00
신세계인터내셔날 청담 사옥 전경 [사진=신세계인터내셔날]

[이코노믹데일리] 신세계인터내셔날이 부업인 화장품보다 힘을 못쓰는 패션사업의 반등을 위해 팔을 걷어부쳤다. 지난해 글로벌 명품 브랜드의 대거 이탈로 실적 타격을 받았던 가운데, 올해 패션 자회사 투자에 나서며 불황을 정면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29일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세계인터내셔날의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0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112억원으로 8.9%가량 신장했다. 지난 2022년 4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줄곧 역성장 곡선을 그려왔는데 5분기 만에 이를 깼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실적은 크게 화장품과 패션 부문으로 나뉜다. 1분기 실적을 견인한 부문은 화장품이다. 1분기 화장품 부문 매출액은 1043억원, 영업이익은 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5%, 16.7% 신장했다. 이는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한 지난 2019년 1분기(1030억원)를 넘어서는 수치다.
 
화장품 부문에선 자체 화장품과 수입 화장품 모두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자체 화장품 중에선 럭셔리 화장품인 뽀아레(63%)와 연작(32%)이 나란히 두 자릿수 신장률을 보였다.
 
스위스퍼펙션의 경우 지난해 추진한 글로벌 유통망 재정비 효과로 스위스 법인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3.9%, 184.5% 증가했다. 스위스퍼펙션은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지난 2020년 인수한 럭셔리 스킨케어 브랜드다.
 
수입 화장품은 딥디크와 아워글래스 등 니치향수와 헤어케어 등 브랜드들이 약진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다만 국내 패션부문은 전년 대비 매출이 역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여성복 시장 환경이 녹록치 않은 탓이다. 해외 패션부문은 주요 수입 브랜드인 어그(23%), 릭오웬스(23%), 브루넬로 쿠치넬리(22%) 중심으로 호실적을 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국내 패션의 재도약을 위해 브랜드를 재편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자체 여성복 브랜드 보브와 지컷 관련 유무형 자산이 포함된 영업권 일체를 ㈜신세계톰보이에 583억원에 양도했다.
 
신세계톰보이는 주력 자체브랜드 스튜디오 톰보이를 보유하고 있던 자회사다. 이번 재편을 통해 전개하는 브랜드는 스튜디오 톰보이, 보브, 지컷 등 총 3개가 됐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전문법인을 통해 국내패션 사업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는 한편 스튜디오 톰보이, 보브, 지컷을 집중 육성해 메가 브랜드로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재정적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최근 신세계톰보이 유상증자에 77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유상증자는 신규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말한다.
 
신세계톰보이는 향후 확보한 자금을 모두 채무상환에 사용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영위하고 있는 패션 브랜드들의 투자여력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패션사업 경쟁력 강화는 물론 브랜드들 간의 시너지 창출에도 힘을 쏟는다.
 
신세계톰보이는 4년 내 보브의 매출 볼륨을 1000억원대 중반으로 확대하고 지컷은 2028년까지 연 매출 1000억원대의 메가 브랜드로 육성한다. 여성 캐주얼 시장에서 최정상 브랜드로 입지를 굳힌 스튜디오 톰보이는 2000억원대 매출을 목표로 세웠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진행해온 효율 중심의 사업 구조 개선과 성장성 높은 브랜드에 대한 집중 투자 결과가 올해부터 실적에 반영되고 있다”며 “올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이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