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생활경제

부광약품, 'JM-010' 미국 임상도 중단...새 파이프라인 'CP-012'에 집중

안서희 기자 2024-05-24 00:50:19

파킨슨병 치료제 JM-010 유럽 임상 실패로 미국 임상도 '중단'

부광약품 "JM-010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해 기술이전 고려"

부광약품이 23일 오전 파킨슨병 치료제 JM-010의 유럽 임상 2상 실패결과와 관련한 설명회를 진행했다[사진=부광약품]

[이코노믹데일리] 부광약품의 덴마크 R&D 자회사 콘테라파마가 글로벌 임상 2상에 실패하면서 신약개발에 제동이 걸렸다.
 
부광약품은 지난 21일 콘테라파마 개발 중이던 파킨슨병 치료제 JM-010의 유럽 임상 2상에 실패했다고 공시했다.
 
임상 실패 소식에 부광약품 주가는 급락했다. 22일 6200원에 개장한 부광약품은 약 한 시간 만에 전날보다 10.75% 하락한 5810원에 거래를 이어 나갔으며, 5900원에 장을 마쳤다.
 
이러한 악재에 부광약품은 23일 오전 JM-010 후기 임상2상 결과와 향후 개발 방향성에 대한 주제로 설명회를 진행했다.
 
이제영 부광약품 대표는 설명회에 앞서 “이번 JM-010 신약개발 실패로 인해 기다렸을 환자분들에게 송구스럽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설명회를 통해 JM-010의 치료 전후 통계적인 차이를 확인했으나, 본 시험의 주 목표인 위약군(가짜 약)과 비교한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문제가 없었다고 전했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발표된 바와 같이 중대하거나 예상하지 못한 이상반응은 없었다는 설명이다.
 
현재 부광약품은 2차 평가 변수 및 하위 그룹 분석을 추가로 진행 중이다. 일부 하위 그룹에선 위약과 비교해 유의한 효과의 차이를 보이기도 했으나, 좀 더 상세한 결과는 학회 등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광약품은 JM-010의 임상을 유럽과 미국에서 진행 중이었다. 콘테라파마의 2상 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진행 중인 미국 2상 시험을 단축하고 3상으로 진입하는 것이 본래의 전략이었지만, 1차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서 위기에 봉착했다. 이에 부광약품은 더 이상의 지연은 무리라고 판단, 미국 임상시험도 중단키로 했다.
 
부광약품 관계자는 다만 “지금까지 JM-010 연구로 약리학적 효과를 확인했다”라며 “이 데이터들을 보강하고 분석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는데,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에 관심이 있는 회사들과 기술이전은 고려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더불어 콘테라파마의 넥스트파이프 라인으로 CP-012를 꼽으며, 향후 개발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영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CP-012는 파킨슨병 환자의 70%가 경험하고 있는 아침무동증(Morning Akinesia)을 적응증으로 개발 중인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현재 생체효력시험단계에 있지만, 개발 성공 시 JM-010보다 더 큰 시장성을 갖출 것으로 전망했다.
 
이 대표는 “많은 제약사들이 신약개발 도중 실패를 경험한다. 이번 실패도 그 중 하나”라며 “이번 일을 가지고 콘테라파마 경영진과 연구진들의 신뢰성에 대해 의심 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간 연구에 최선을 다해 온 임상개발 연구진들에게 감사를 보낸다”라고 말했다.
 
이어 “중추신경계 질환 극복을 위한 부광약품의 R&D노력은 계속 될 것이라는 점을 약속드리며, 향후에도 투명한 소통과 신뢰를 바탕으로 더 나은 성과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