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자사주를 보유한 기업 중 지난 1년 새 자사주를 소각했거나 소각한다고 결정한 기업은 전체의 13.7%로 조사됐다. 1년 동안 가장 많이 소각한 기업은 약 1조원 규모의 삼성물산으로 나타났다.
27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52개 상장사에 자사주 보유·소각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2년부터 현재까지 자사주를 보유한 기업은 66.5%(234개사)로 집계됐다.
자사주를 보유한 기업들의 자사주는 10억853만주로 발행주식의 합계인 460억4275만주의 2.2%에 해당한다.
조사 대상 234개사 중 지난 1년 동안 자사주를 소각했거나 지난 23일까지 소각한다고 공시한 기업은 32개사(13.7%)였다. 소각 예정을 포함한 소각 금액은 총 6조3955억원이었다.
기업이 자사주를 소각할 경우 유통 주식 수가 감소해 그만큼 기존 주주들이 갖고 있는 주식 가치가 오른다.
최근 1년 동안 가장 많이 자사주를 소각했거나 이를 결정한 기업은 삼성물산으로 나타났는데, 780만7563주 약 1조원 규모다.
이어 자사주 소각 규모는 SK이노베이션(7936억원), KB금융(6200억원), KT&G(6176억원), 신한지주(4993억원), 하나금융지주(4500억원), 셀트리온(3599억원), 현대차(3154억원), 네이버(3053억원) 순으로 컸다.
정부가 지난 1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기업들이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을 늘리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자사주 소각·배당으로 주가 저평가를 해소한 기업에 법인세를 감면하거나 소각 비용의 손금을 인정하는 방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한중정상회담] 李대통령 中과 소통 강화 기대...시진핑 韓은 협력동반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1/20251101180620173463_388_136.jpg)

![[한중정상회담] 韓中 정상회담 일정 시작…관계회복·비핵화 논의 전망](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1/20251101162524156500_388_136.jpg)


![[2025APEC] 李대통령 억지력·대화 있어야 남북평화…한·중 경제협력 중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1/20251101152109383455_388_136.jpg)
![[2025APEC] 21개 정상, 경주선언 채택…AI이니셔티브·인구변화 대응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1/20251101141103476376_388_136.jpg)
![[2025APEC] 시진핑 내년 APEC은 중국 선전서 개최...아태공동체 의지 표명](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1/20251101140731116640_388_136.jpg)
![[2025APEC] 1박2일 본회의 마무리…李대통령, 시진핑에 의장직 승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1/20251101135030364350_388_136.jpg)
![[2025APEC] 시진핑 AI는 미래 발전에 중대한 의의...아태지역 디지털 격차 해소 의지 밝혀](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1/20251101132527279680_388_136.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