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올해 1월 99.0포인트(p)를 저점으로 2월 99.2p, 3월 99.7p, 4월 99.9p로 반등하고 있다.
미래 경기 방향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1년 6월 102.2p로 정점을 찍은 뒤 지속 하락해 지난 4월 98.0p로 집계됐다. 2분기(4~6월) 한국 경제는 경착륙이 시작되는 국면에 위치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수요부문에서 4월 소매판매는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실질구매력 감소로 전월 대비 2.3% 감소했으며 전년(2022년) 동월 대비로는 1.1% 줄었다. 5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5.2% 감소해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특히 5월 중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0.8% 감소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경기 방향성을 결정하는 위험 요인으로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과 중국 시장 불안정성 등을 꼽았다. 연구원은 "미국은 올해 1분기(1~3월) 경제성장률 연 1.3%로 성장세를 보였지만 통화긴축정책으로 기업 투자 침체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시장 4월 소매 판매 증가율은 18.4%로 집계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로 실물 지표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민간과 정부의 높은 부채, 부동산 시장 침체라는 구조적 문제가 중국 시장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1분기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실질 구매력이 약화되면서 수출과 내수가 침체한 모습을 보였다"며 "시장 규제 완화로 기업 투자를 늘려 소비 시장을 활성화하고 신흥시장과 신산업 발굴 노력을 통해 대중국 수출 부진을 극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