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통화당국이 치솟는 물가 상승세가 올해들어 확실히 꺾였다는 판단을 내렸다. 기준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아도 되는 결정적 배경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1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존 기준금리 3.50%를 유지하기로 의결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직전 금통위가 열린 지난 2월에 이어 연속 동결이 이뤄졌다. 사실상 올해 1월부터 3개월가량 기준금리가 굳어진 셈으로, 금융업계가 전망한 국내 최종금리 상단을 찍은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은 작년부터 '물가와의 전쟁' 모드를 지속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주목했다. 1년여 시간이 흐르면서 4%대 초반까지 비율이 낮아지자 한은은 무리한 금리 인상이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특히 국내 최대 수익요소인 수출이 부진한 데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도산 등 글로벌 금융에 위기설이 확산한 점도 이번 금리 동결의 요인으로 꼽힌다.
내수 경기가 얼어붙은 와중에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 시장에 부담을 줄 필요가 없었다는 해석이다. 이날 금통위 의결로써 1년 반 동안 이어진 물가와의 전쟁도 막을 내리고 있다.
한은이 가장 집중한 점은 대표적인 물가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로, 3월 소비자물가지수(110.56)는 작년 같은 달보다 4.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률만 보면 2월(4.8%) 대비 0.6%포인트 하락했다. 작년 3월(4.1%)과 비교하면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에 해당한다.
일례로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수출 부진 등에 이미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0.4%)로 돌아섰다. 악화일로 때문에 올해들어서도 반등은 어렵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린다.
경상수지의 경우 올 1~2월 11년 만에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3월 통관기준 무역수지도 -46억2000만달러로 13개월째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만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확대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 5.0% 기준금리 상단을 찍고 있는 미국이 다음달 열릴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에서 추가 베이비스텝(한 번에 0.25%포인트 기준금리 상승)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시나리오대로라면 다음달 연준 회의 이후 한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는 역대 최대 수준인 1.75%포인트까지 벌어진다.
금투업계는 "현재도 22년만에 금리차가 최대로 벌어졌는데 또 다시 차이가 벌어질 게 뻔한 상황으로 금리 혜택을 보기 어려운 외국인들의 자본 유출은 어느 정도 감수해야 할 것 같다"고 우려한다. 이에 따른 원화 가치 하락, 즉 원/달러 환율 추가 상승도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직전 금통위가 열린 지난 2월에 이어 연속 동결이 이뤄졌다. 사실상 올해 1월부터 3개월가량 기준금리가 굳어진 셈으로, 금융업계가 전망한 국내 최종금리 상단을 찍은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은 작년부터 '물가와의 전쟁' 모드를 지속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주목했다. 1년여 시간이 흐르면서 4%대 초반까지 비율이 낮아지자 한은은 무리한 금리 인상이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특히 국내 최대 수익요소인 수출이 부진한 데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도산 등 글로벌 금융에 위기설이 확산한 점도 이번 금리 동결의 요인으로 꼽힌다.
내수 경기가 얼어붙은 와중에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 시장에 부담을 줄 필요가 없었다는 해석이다. 이날 금통위 의결로써 1년 반 동안 이어진 물가와의 전쟁도 막을 내리고 있다.
한은이 가장 집중한 점은 대표적인 물가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로, 3월 소비자물가지수(110.56)는 작년 같은 달보다 4.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률만 보면 2월(4.8%) 대비 0.6%포인트 하락했다. 작년 3월(4.1%)과 비교하면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에 해당한다.
금투업계는 또 이번 금리 동결의 근거로 금통위 내 통화 정책 완화를 선호하는 '비둘기파'가 그 반대인 '매파' 진영보다 목소리를 높였을 것으로 지목한다. 갈수록 나빠지는 경기 지표가 비둘기파에 힘을 보탰다는 의미다.
일례로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수출 부진 등에 이미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0.4%)로 돌아섰다. 악화일로 때문에 올해들어서도 반등은 어렵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린다.
경상수지의 경우 올 1~2월 11년 만에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3월 통관기준 무역수지도 -46억2000만달러로 13개월째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만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확대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 5.0% 기준금리 상단을 찍고 있는 미국이 다음달 열릴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에서 추가 베이비스텝(한 번에 0.25%포인트 기준금리 상승)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시나리오대로라면 다음달 연준 회의 이후 한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는 역대 최대 수준인 1.75%포인트까지 벌어진다.
금투업계는 "현재도 22년만에 금리차가 최대로 벌어졌는데 또 다시 차이가 벌어질 게 뻔한 상황으로 금리 혜택을 보기 어려운 외국인들의 자본 유출은 어느 정도 감수해야 할 것 같다"고 우려한다. 이에 따른 원화 가치 하락, 즉 원/달러 환율 추가 상승도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