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우리나라에서 자사주 매입 허용과 활성화가 시도된 동기는 주가 안정, 부양책 등의 활용 목적이 강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경영권 위협이 부각되면서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대한 방어 목적으로 무게가 옮겨졌다.
지난해 말 일명 ‘3%룰’로 불리는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를 통과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투기자본 공격에 무방비에 노출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기업이 자사주 매입을 통해 경영권을 방어할 수 있는 힘이 약화되는 셈이다.
최근 성과급 논란이 재계에 확산되면서 자사주를 지급하려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단순 성과급 문제 해결을 넘어 3%룰 도입에 따른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면 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해 해당 직원의 사기가 높아지고 덩달아 충성도 또한 제고된다면 투기자본 공격은 위협적이지 않다.
자사주 경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네이버와 카카오 또한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발표한 ‘2020 기업지배구조평가’에서 시가총액 상위 10위 기업 중 지배구조(G)부문에서 유일하게 A+등급을 받았다.
카카오는 G부문에서 네이버보다 한 단계 낮은 A등급을 부여받았다. 최근 지배구조 문제가 이슈로 떠올랐지만 김범수 의장은 재산의 절반을 사회에 환원한다고 발표하면서 ESG 경영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미 네이버와 카카오는 투기자본 공격으로부터 자유롭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주구성이 다양화돼 있어 투기세력 입장에서도 이슈를 부각시켜 주주를 결집시키는 데 부담이 따르는 탓이다.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사인 주가 또한 늘 ‘고평가’라는 수식어가 따라 다닐 만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공격 명분도 찾기 어렵다.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주주 분산과 우군 확보 등에서 자사주를 활용하는 방안은 긍정적”이라면서도 “M&A·설비투자 대비 실익이 크다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하는 만큼 쉽지 않은 선택”이라고 말했다. 그는 “결국 기회비용 문제인 만큼 최종적으로 경영진들이 책임을 질 수밖에 없는 문제라 부담이 클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