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0일 여의도 전경련 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일본 경제제재의 해법’ 긴급 세미나를 개최한다. 정인교 인하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가 한일 통상환경의 변화와 대응방안을, 이주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반도체산업의 전망과 과제를.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일무역분쟁의 경제적 영향을 주제로 각각 발표를 갖는다. 토론자로는 허윤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와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이 참석한다.
정재계 위기상황에서 열리는 이번 세미나는 전경련의 장기적 위상 회복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에 동원된 이후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 ‘찬밥’ 신세가 된 전경련은 대일 민간 외교 역량 강화를 추진해왔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지난 3월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일본 자민당 간사장을 만나고 일본 경단련과 11월 도쿄에서 열리는 ‘한일재계회의’ 일정을 확정했다.
지난 1일에는 일본 현지 기업 취업 연계 연수 프로그램 ‘K-Move 스쿨’ 발대식을 열기도 했다.
전경련은 이 밖에도 ▲4월 한일관계 진단 전문가 긴급좌담회 ▲5월 한일관계 악화에 따른 주일 한국기업 영향 설문조사 ▲6월 악화된 한일 관계에 따른 경제 위축 가능성 분석 ▲일본의 관셰부과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의 대일 수출 영향 분석 등을 이어왔다.
실용적 한일관계를 모색하던 전경련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 방침에 즉각 논평을 내고 ‘미래 지향적 실용주의’ 훼손을 우려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주목할 부분은 전경련 ‘전 회원’인 삼성과 SK가 참고할 반도체 소재 해법이다. 7일 일본 출장길에 오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8일 현지 재계 인사들과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전해졌다.
세미나에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정부와 기업에 얼마나 의미 있는 해법이 나올지가 전경련 이미지 회복에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장에서 외면할 수 없는 해결책이 나올 경우 정부가 전경련을 ‘미워도 다시 한 번’ 돌아볼 계기가 생길 수 있어서다.
반면 세미나가 별 다른 차별화 없이 마무리 될 경우 전경련은 외부 위기를 기회로 살리지 못하고 다음 계기를 노려야 한다.
이번 ‘긴급 세미나’는 전경련의 존재감을 살릴 기회지만 한계도 명확하다. 하지만 단순한 경제 논리가 아닌 정치 문제라는 점에서 아베 총리의 강고한 규제 방침을 극복할 해법이 나오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 산업의 애로 해결이 우리 단체의 역할”이라며 “앞으로도 우리의 역할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