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황병우 떠나는 iM뱅크…'전국 확장·디지털 혁신' 과제 해결사는 누구

지다혜 기자 2025-11-27 17:30:00
강정훈·김기만 내부 유력…지주 부사장 3명도 후보군에 조직 확장·리스크 관리 고도화 등 새 수장 과제 산적
대구 북구 소재 iM뱅크 제2본점 전경 [사진=iM뱅크]
[이코노믹데일리] iM금융지주가 황병우 회장 겸 iM뱅크 은행장의 용퇴 선언 이후 경영승계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시중은행 전환을 마친 iM뱅크가 조직 확장과 영업 기반 재편이라는 중대 과제를 앞둔 만큼 차기 은행장의 리더십과 전략 방향성에 관심이 집중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황병우 iM금융 회장 겸 은행장은 올해를 끝으로 은행장직에선 물러난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iM금융의 시중은행 전환 프로젝트를 총괄하며 기반을 다진 황 회장의 퇴진 이후, 본격적인 성장 전략을 책임질 새로운 수장 선임이 최대 이슈로 떠오른다.

iM금융 그룹임원후보추천위원회(그룹임추위)는 지난 9월부터 차기 은행장 후보군 검증 절차를 진행 중으로, 내부검증을 거쳐 다음 달 중 최종 후보를 확정할 예정이다.

유력 후보로는 iM뱅크의 강정훈 경영기획그룹 부행장과 김기만 수도권그룹 부행장이 꼽힌다. 지주 쪽에선 박병수 그룹리스크관리총괄 부사장, 천병규 그룹경영전략총괄 부사장, 성태문 그룹가치경영총괄 부사장 등이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다.

강정훈 부행장은 재무·기획 분야에서 성과를 쌓아온 재무통으로 통한다. 1997년 대구은행 입행 이후 전략기획부 팀장을 거쳐 지주로 넘어가 신사업 부장, 미래전략·기획부장 등을 역임했다.

2022년 임원으로 승진하면서 미래기획총괄(상무), 이사회사무국장, 경영지원실장(전무), ESG전략경영연구소장(부사장)을 지낸 뒤 지난해부터 경영기획그룹장(부행장)을 맡고 있다. 특히 같은 ESG전략경영연구소장 출신인 황 회장과의 소통력이 강점으로 꼽힌다. 계열사 간 시너지 강화 추진에 적합한 인사란 평가다.

김기만 부행장은 브랜드와 현장 경험을 주로 쌓은 영업통으로 불린다. 1997년 대구은행에 입행한 뒤 여의도지점장과 지주 브랜드전략부장을 지냈다. 노동조합 부위원장과 노조위원장 업무를 수행하며 내부 신임도 두터운 것으로 전해진다.

2023년 임원 승진 이후엔 부울경본부장(상무)과 공공금융그룹장(부행장보)를 맡았다. 특히 올해부턴 수도권그룹을 이끌며 시중은행 전환 후 핵심 과제인 전국 확장을 주도하고 있는 인물이다.

두 부행장의 양강 구도에 힘이 실리는 데는 다양한 경력 외에도 이들 부행장이 각각 1969년생, 1970년생으로 비교적 젊은 리더십이란 평가도 더해진다. 통상 경영 승계 시엔 신사업 확장이나 체질 개선을 위해 세대교체에 속도를 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iM뱅크는 지난해 시중은행 전환을 계기로 △전국 영업망 확대 △디지털·비대면 기반 강화 △조직 규모 확대에 따른 예산·리스크 관리 체계 고도화 △지역 기반 이미지 탈피 및 전국구 브랜드 구축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최근 우량 여신 위주의 대출 성장 및 적극적인 수익 관리로 개선세를 보이고 있는 건 고무적이다. 지난 3분기 iM뱅크의 당기순이익은 3666억원으로 전년보다 7% 증가하며 자체 최대 실적을 냈다.

이에 힘입어 지방은행 이미지를 벗어나 완전한 시중은행으로 자리 잡기 위해선 디지털 혁신 역량과 전국 단위 영업 전략 강화가 중요해진 상황이다. 차기 은행장이 기존 시중은행들과의 인력·자본 격차를 줄이고 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어떤 전략을 낼지가 승부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iM금융 관계자는 "iM뱅크가 시중은행으로 도약한 만큼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적임자를 선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