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7.47p(0.71%) 상승한 4만7544.59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3.47p(1.23%) 오른 6875.1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32.59p(1.86%) 급등한 2만3637.46에 장을 마쳤다. 3대 지수는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투자자들은 미·중 간 긴장이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 속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회복했다.
미국 경제 전문 매체인 CNBC 방송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는 주말 사이 아세안 정상회의가 열리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제5차 고위급 무역 협상을 마무리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유예하고 미국은 오는 11월 1일 발효 예정이던 대중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에어포스원(미 대통령 전용기)에서 "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매우 존경한다"며 "이번 협상에서 합의를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벌 수석 투자전략가는 "미국과 중국에 유리한 무역 협정이 체결된다면 양국은 다시 협력하게 될 것"이라며 "그간 기술 산업에 대한 많은 전망은 중국을 제외한 것들이었는데 중국을 다시 고려하게 된다면 시장에도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시장에서는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다. 엔비디아(2.81%)와 브로드컴(2.24%)이 나란히 상승했고, 테슬라(4.31%)와 애플(2.28%)도 급등했다. △마이크로소프트(1.51%) △아마존(1.23%) △메타(1.69%) △알파벳(3.60%) 등 매그니피센트7(M7·대형 기술주 7개)이 일제히 오르며 시장 랠리를 이끌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93.0%로 반영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58P(3.54%) 내린 15.79를 기록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APEC]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AI 3대 강국 되려면 인프라부터 빨리 강화해야](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8/20251028181504565006_388_136.jpg)

![[현장] 당신의 커피 취향은…스타벅스 별빛 클래스 가보니](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8/20251028162746196475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