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현대건설이 경기도 용인 죽전에 국내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를 준공하며 디지털 인프라 구축 경쟁에 본격 가세했다.
현대건설은 24일 ‘용인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 준공을 발표했다. 이 사업은 퍼시픽자산운용이 발주하고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와 신한금융투자가 공동 투자한 총 1조3000억 원 규모로 연면적 9만9125㎡ 부지에 데이터센터 2개 동과 부속시설이 들어섰다.
이 시설은 IT Load 64MW, 수전 용량 100MW급 전력 인프라를 갖춰 고성능 컴퓨팅(HPC)과 클라우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고밀도 운용이 가능하다. 약 16만~20만 가구가 사용할 전력 수준으로 AI 산업 성장에 필요한 전력 수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수준이다.
특히 특정 통신사업자에 종속되지 않는 '망중립형' 구조로 설계돼 다양한 글로벌 트래픽 수요를 수용할 수 있으며 판교와 인접한 입지적 강점을 바탕으로 수도권 남부 디지털 허브의 중심축 역할이 기대된다.
현대건설은 협소한 도심형 부지를 고려해 ‘STD(Strut-Top-Down)’ 공법을 적용하고 BIM 설계와 패스트트랙 공정, 프리컨스트럭션 기획 등 최신 시공 기술을 집약해 약 43개월 만에 공사를 마무리했다.
운영 단계에서는 고효율 냉방 시스템과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도입해 에너지효율지표(PUE) 1.3을 달성했다. 이는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에너지 손실과 탄소배출을 최소화한 친환경 데이터센터로 평가된다.
또한 국제 인증 기준인 ‘티어Ⅲ 이상’ 수준의 무중단 운용 시스템을 갖췄으며 핵심 설비는 모두 이중화·삼중화해 안정성을 확보했다.
현대건설은 이번 사업을 계기로 수도권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디지털 인프라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AI·클라우드 수요에 대응한 친환경 데이터센터 모델 개발을 지속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현대건설은 네이버 세종 데이터센터, KT 목동 IDC 등 다수의 국내 대형 데이터센터 시공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SMR(소형모듈원전) 등과 연계한 차세대 에너지 기반 데이터센터 모델도 개발할 방침이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