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미국 MIT와 공동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올해 말 자사 사옥에서 실제 서비스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는 네이버가 추진하는 ‘로봇 AI 파운데이션 모델’과 웹 기반 로봇 OS를 통해 미래 도시를 움직일 수만 대의 로봇을 위한 ‘클라우드 두뇌’를 구축하겠다는 원대한 비전의 서막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16일 서울 강남에서 열린 디지털 인사이트 포럼에서 ‘미래 도시를 위한 디지털 트윈, AI 그리고 로봇’을 주제로 강연하며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석 대표는 "미래 도시에는 수만, 수십만 대의 로봇이 사람과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움직이게 될 것"이라며 "네이버는 모든 로봇을 위한 눈과 두뇌를 클라우드에 구축하는 환경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첫걸음이 될 휴머노이드 로봇은 2019년부터 MIT와 협력해 개발한 소형 이족보행 로봇이다. 석 대표는 “올해 말부터 네이버 1784 건물 안에서 이 로봇이 돌아다닐 예정”이라며 “내년부터는 기존 배달 로봇 ‘루키’와 함께 도시락이나 커피를 배달하는 실제 서비스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로봇은 다음 달 열리는 네이버의 연례 기술 콘퍼런스 ‘단(DAN) 25’에서 공개될 가능성이 크다.
이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네이버의 모든 로봇은 클라우드 로봇 시스템 ‘아크(ARC)’와 웹 기반 로봇 OS ‘아크 마인드’를 통해 움직인다. 석 대표는 "아크는 로봇 두뇌를 클라우드에 올린 개념으로 5G 특화망으로 로봇이 초저지연으로 클라우드 지능과 연결된다"며 "작은 로봇도 카메라와 모터, 5G 모듈만 달면 클라우드를 두뇌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로봇의 ‘눈’에 해당하는 공간지능 기술도 한층 더 고도화한다. 사진 한 장으로 3차원 공간을 복원하는 AI 모델 ‘더스터(DUSt3R)’의 차기 버전 ‘더스터 2’를 다음 달 공개한다. 석 대표는 “이번 버전은 지오메트리가 훨씬 더 정확하고 이미지 세그멘테이션과 사람 인식까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기술을 기반으로 GPS가 닿지 않는 실내에서도 사진 한 장으로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실내 AR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달 말 상용화할 계획이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