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의 ‘족집게’로 불리는 아서 헤이즈 비트맥스 창립자가 “미국이 결국 전쟁을 위해 막대한 돈을 찍어낼 것이며 이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이 100만 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충격적인 전망을 내놨다.
아서 헤이즈 메일스트롬 공동설립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23일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코리아블록체인위크 2025(KBW2025)’ 메인 콘퍼런스 기조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상황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와 유사하다고 진단했다. 헤이즈 CIO는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선 돈을 엄청나게 찍어야 한다. 정부가 빚을 내어 전쟁 무기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라며 “당시 연준은 재무부와 합의해 국채 시장을 조작하고 미 정부가 아주 싼 비용으로 돈을 빌릴 수 있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미국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란과의 충돌에서 사실상 패배했다고 주장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바로잡기 위해 막대한 재정 지출을 감행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결국 대출과 국채 등 신용이 필요하다. 그 신용은 은행 시스템과 재무부가 공급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 이사회를 장악하고 결국 연준이 다시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로 돌아설 것이라는 게 그의 핵심 논리다. 헤이즈 CIO는 “트럼프는 연준 이사회 7명 중 4명을 확보해야 한다. 그 순간 연준은 다시 양적 완화로 돌아갈 것이며 가상자산 강세를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중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이 결국 가치저장 수단인 비트코인으로 몰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는 단기적으로도 비트코인의 강세를 예견했다. 헤이즈 CIO는 “비트코인이 연말 25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연준과 재무부가 돈을 더 빠르게 찍어낸다면 비트코인 가격도 연말까지 거의 두 배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韓 시장에 대한 제언...“레버리지 허용하고 외국인 문 열어야”
이날 헤이즈 CIO는 한국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쓴소리도 아끼지 않았다. 그는 한국 거래소 발전을 위해 ‘레버리지 허용 폭 확대’를 제언했다. “일본처럼 2배로 제한한다면 투자자들은 해외 플랫폼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며 “규제 당국이 해외 DEX(탈중앙화 거래소) 수준의 레버리지를 허용한다면 투자자들은 한국 거래소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외국인 계정 허용과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통해 글로벌 투자 자금을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국내에서 화두가 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주체에 대해서는 핀테크 기업의 손을 들어줬다. 그는 “만약 핀테크 기업의 하는 일이 단순히 들어온 현금을 은행 계좌나 국채에 예치하는 것뿐이라면 누구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며 예치금 이상으로 발행하는 리스크만 통제한다면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