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4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석유화학 사업 종합대책 마련’을 지시한데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이달 중 구조개편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15일 산업부는 “지난달부터 산업부 1차관이 10여개 기업 대표를 개별 면담하면서 석유화학 분야 사업재편에 대해 긴밀히 협의해왔다”며 “8월 중 석유화학산업 구조 개편에 대한 정부 방침을 밝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한화오션 거제조선소를 찾아 “석유화학산업의 현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업계가 합심해 설비조정 등 자발적인 사업 재편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열린 제7차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회의를 통해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의 사업재편과 설비 조정 등을 직접 거론하며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공식화했다.
그동안 구조조정이 절실한 석유화학 업계에 대한 정부 대책은 ‘자율’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지난해 12월 산업부는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지만 설비 합리화에 직접 개입하기보다는 고용 및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데 정책이 집중됐다.
대산·울산·여수를 비롯해 석유화학 기업들이 몰려 있는 주요 산업단지별로 최소 1개 이상 나프타분해시설(NCC)를 통폐합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하지만 개별 기업의 이해관계가 얽혀 논의가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 대통령까지 나서 사업재편과 설비 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만큼 정부 추가 대책에는 기업들의 구조조정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정책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일각에서는 정유사와 연계돼 있지 않은 석유화학 설비를 정유사와 통합하는 정유사·석유화학사 간 ‘수직 통합’과 ‘일본식 유한책임사업조합(LLP)’을 도입해 복수의 석유화학 기업들이 생산설비를 통합 운영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김 장관은 “석유화학 기업들이 과거 조선 기업들의 구조조정을 거울 삼아 공동의 노력과 책임 있는 경영을 할 필요가 있다”며 “무임승차하는 기업은 범부처가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며 업계의 자구 노력을 강조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