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트럼프 250% 의약품 관세 예고에…국내사 '현지 파트너십 전략' 채택

안서희 기자 2025-08-14 08:10:51
스위스 제약사, 미국 투자·생산 확대 선언 트럼프 관세 인상 예고에 제약업계 대응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EPA·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의약품 관세 예고에 국내외 제약사들은 대응책을 발표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의 경우 미국 현지에 법인을 설립을 추진한 반면 국내 제약사들은 현지 파트너십 전략을 선택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일(현지시간) 의약품 관세를 단계적으로 인상하겠다고 예고했다.
 
미국 정부의 의약품 관세 계획은 ‘소규모 인상’을 시작으로 1년 반 이내 150%, 이후 최대 250%까지 인상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글로벌 제약사들은 발 빠르게 대응책을 마련에 움직이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사들은 ‘현지 파트너사 중심 협업’ 전략을 선택했다. 아직 미국과의 관세 협상 전이지만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을 주시하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미국에서 매출을 올리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휴젤과 대웅제약이 있다. 휴젤은 필러와 보톡스 매출이 급증해 북남미 시장에서 전년 대비 약 300% 성장했고 대웅제약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 매출로 올해 상반기에만 1154억원을 달성했다.
 
국내 기업이 파트너사 협업을 선택한 이유는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무엇보다 세금 부담이 현지 파트너사에 있기 때문에 고율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공급가 계약’을 맺으면 국내사는 공급가로 납품한 시점에 매출이 확정되기 때문에 최종 판매 단계에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국내 기업의 매출에 영향은 제한적이다.
 
반면 스위스 빅2 제약사인 로슈와 노바티스는 ‘미국 현지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
 
로슈는 미국 공장을 대폭 증설해 현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여유 물량은 다른 국가로 수출할 계획이다. 노바티스 또한 주요 제품을 100% 미국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사실상 스위스에서의 미국 수출을 중단한다는 뜻이다.
 
또한 올해 들어 로슈는 약 500억 달러, 노바티스는 약 23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같은 결정은 앞서 스위스와 미국 간 관세 협상이 결렬되면서 39%의 상호관세가 적용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상호관세에는 의료기기가 포함되며 품목관세로 분류된 의약품 관세 부과 일정은 아직 미정이다.
 
이처럼 미국 의약품 관세 발표에 국내외 제약사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내 제약사들도 면밀히 상황 전개를 살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의 경우 아직 확정된 바가 없어 아직은 구체적인 대응책을 말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직접적인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국 내 대규모 공장 설립이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기 때문에 기존 유통망을 보유한 현지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면서 시장 접근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