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이전 실거래가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하락 거래’ 비중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대출 규제가 매수 심리를 위축시킨 영향으로 분석된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전월(46.5%)보다 2.1%포인트 줄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포인트 늘었다.
이 같은 변화는 수도권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의 지난달 상승 거래 비중은 45%로 전월(48.1%) 대비 3.1%포인트 줄었고,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포인트 늘었다. 서울도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줄었으며,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로 확대됐다.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상승·하락 거래 비중이 전월과 큰 차이가 없었다. 지난달 비수도권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4%, 하락 거래 비중은 43.5%로, 6월(상승 44.1%, 하락 43.1%)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대선 전후 아파트값 변동 폭이 컸던 세종시는 하락 전환이 두드러졌다. 7월 세종시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전월(48.9%) 대비 8.2%포인트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35.4%에서 45.2%로 9.9%포인트 증가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6·27 대책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이 서울·경기 지역에 특히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일부 지역에서 상승 거래 비중이 줄고 있지만 공급 불안 심리가 남아 있어 실제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