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지수는 전일 대비 1.67% 오른 5375.86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07% 상승한 3만9606.57, 나스닥100 지수는 2.28% 급등한 1만8693.26,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1.53% 상승한 1919.14를 각각 기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백악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 중인 관세율을 50~65%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에 장중 지수는 상승폭을 확대했고, S&P500 지수는 한때 3.4%까지 급등했다.
그러나 백악관은 CNBC를 통해 "관세 인하는 상호적 조치에 기반해야 한다"며 진화에 나섰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대중 관세를 철회하겠다고 제안한 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적용 중인 145%의 관세율은 향후 2~3주 내 조정될 수 있다"며 "시점은 중국의 태도에 달려 있다"고 발언했다. 다만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 인하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파월 의장 관련 언급에서도 "금리를 높게 유지하는 것은 실수이며, 파월에게 직접 전화할 수도 있다"고 밝혀 시장 불확실성을 자극했다. 그러나 파월 해임 의사와 관련해서는 "그럴 생각이 없다"고 일축해 장기 국채금리 하락의 배경이 됐다.
채권시장은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405%에서 4.385%로 소폭 하락했고, 2년물은 3.821%에서 3.869%로 상승했다.
외환시장에선 베센트 장관이 일본과의 환율 협상에서 특정 목표치를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자 엔화가 약세로 전환됐다.
경제지표 측면에선 부정적 시그널도 나왔다. S&P 글로벌이 발표한 4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기업 활동 둔화와 함께 공급망 불확실성 속 가격 인상이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의 스티브 소스닉은 "이틀간의 급등 이후 차익실현이 나오는 건 이례적이지 않다"며 "베센트 장관이 '미·중 정상 간 직접 소통이 핵심이며 완전한 해소엔 2~3년이 걸릴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시장의 기대가 다소 조정된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러셀 프라이스 아메리프라이즈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워싱턴발 관세 완화 기대와 트럼프 대통령의 온건한 연준 관련 발언이 시장에 강한 긍정 신호를 줬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