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1분기 실적 발표 앞둔 건설업계, 상위 3사 '부진' vs 중위권 '기지개'

한석진 기자 2025-04-23 08:35:24
싱가포르 종합 철도 시험 센터[사진=GS건설]

[이코노믹데일리] 주요 상장 건설업체들이 이달 말 1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가운데 업계 간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 기준 상위 3개 건설사인 삼성물산 건설부문, 현대건설, 대우건설은 부진한 성적표가 예상되는 반면 DL이앤씨,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은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
 

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오는 29일 대우건설과 현대건설을 시작으로 30일에는 삼성물산과 GS건설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물산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3040억원, 현대건설은 18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8%, 24.8%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대우건설의 경우 영업이익 전망치가 849억원으로 전년 동기 1148억원 대비 26%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실적 하락세가 이어지는 배경에는 장기간 지속된 공사비 상승과 경기 침체에 따른 수주 감소가 자리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2021년부터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고, 2020년 코로나19,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급등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반면 일부 상위 건설사는 실적 반등 가능성이 제기된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DL이앤씨의 1분기 영업이익은 856억원으로 전년 동기 609억원보다 40.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GS건설은 전년 동기 710억원 대비 14.4% 늘어난 81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HDC현대산업개발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6% 증가한 575억원의 실적을 올릴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러한 개선 흐름은 지난해 1분기 실적이 크게 부진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DL이앤씨는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2.5% 감소했으며,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도 각각 55.3%, 11%의 실적 감소를 겪었다.
 

전반적인 건설업 실적 부진 흐름 속에서도 금융투자업계는 올해 하반기 주요 대형사들의 실적 회복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이은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23년 이후 분양가 인상을 통해 공사비 상승을 일정 부분 반영해왔고, 정부의 건설 경기 부양책이 효과를 내면 착공 물량이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며 “집권 1년 차에 해당하는 새 정부의 정책 효과가 본격화되는 시기인 만큼 대선 이후 건설업체들의 이익 개선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