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AI가 통신망을 바꾼다' SKT,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실험' 성공…국내 첫 사례

선재관 기자 2025-04-17 10:07:36
SK텔레콤은 글로벌 장비 제조사 삼성전자, 에릭슨(Ericsson), 노키아(Nokia) 등과 협력해 이동통신망 고도화를 위한 핵심 기술인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 환경에서 실증하는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사진은 SKT 구성원들이 분당사옥에서 네트워크 AI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모습[사진=SKT]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 환경에서 실증하며 통신망 인프라를 AI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 나섰다.

SK텔레콤은 17일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 글로벌 장비 제조사들과 협력해 실내외 상용망에서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실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국내 이동통신사 가운데 세 제조사의 장비를 모두 실제 환경에서 실증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구현돼 특정 제조사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형 구조를 갖는다. 이 기술은 통신과 AI 연산을 동일 인프라에서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AI’ 구현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SKT는 이번 실증을 통해 기존 기지국 대비 서비스 품질, 용량, 전력 효율 등 주요 성능 지표에서 개선을 확인했다.

특히 SKT는 가속기 구조를 진화시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 이를 통해 가상화 기지국의 운영 효율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실증에는 AI 연산처리에 유리한 GPU 등 다양한 칩셋이 포함된 구조가 활용됐다.

또한 SKT는 개방형 프론트홀 기반으로 삼성전자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과 국내 기업 HFR의 무선 장치를 연동했다. 해당 장비는 오픈랜(O-RAN) 표준에 따라 구성됐으며 실내 사무공간에서 성능 검증을 마쳤다. 상용 수준의 망 환경에서 개방형 구조를 적용한 첫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실증은 SKT가 네트워크 AI 전환을 위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SKT는 통신망과 AI 워크로드를 동시에 처리하는 최적의 구조인 AI-RAN 개발을 위해 가상화 자원 분배 기술에 대한 연구를 병행 중이다. 이 기술은 AI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무선 통신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앞서 SKT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25에서 GPU 기반 가상화 기지국의 벤치마크 결과와 AI 연산 자원 관리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O-RAN 글로벌 플러그페스트 2024’에서 에릭슨, 노키아와 함께 다양한 구조의 기지국을 시연했으며 일본 NTT 도코모와 공동 기술 백서를 발간하는 등 국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류탁기 SKT 인프라기술본부장은 “이번에 상용 환경에서 실증한 가상화 기지국은 SKT의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 비전인 네트워크 AI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활발한 연구개발과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 구현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