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SK텔레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최 수석부회장은 SK텔레콤 산하 SK경제경영연구소(SKERI)의 부회장으로 선임, SK텔레콤의 상근 미등기 임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최 수석부회장의 이번 SKT 합류는 SKT와의 직접적인 업무 연관성은 낮다는 점에서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진다. SK경제경영연구소는 SKT 산하 조직이지만 그룹 전체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며 SKT 사업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과거 이 자리는 최태원 회장의 사촌 동생인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5년 이상 맡아왔다.
재계에서는 최 수석부회장의 SKT 미등기임원 합류를 SK그룹의 인공지능(AI) 사업 강화 전략과 연관 짓고 있다. SK텔레콤은 최근 AI를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하며 AI 컴퍼니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1월 ‘SK AI 서밋 2024’에서 AI 인프라, AI 데이터센터(DC),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엣지 AI 등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계획을 발표하며 AI 사업 확장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최 수석부회장은 SK온 대표이사 수석부회장을 역임하며 SK온을 글로벌 배터리 기업으로 성장시킨 주역이다. 지난해 6월 SK이노베이션으로 이동하여 그룹 에너지·그린 사업 전반을 이끌고 있다. 비록 에너지·그린 사업과 SKT의 AI 사업은 직접적인 연관성은 낮아 보이지만 그룹 차원에서 AI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만큼 최 수석부회장의 합류가 그룹 차원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SK텔레콤은 유영상 대표가 SK수펙스추구협의회 ICT 위원장을 겸임하고 있어 그룹 차원의 AI 전략 실행에 있어 SK텔레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최 수석부회장의 합류는 SK텔레콤의 AI 사업 추진에 힘을 실어주고 그룹 차원의 AI 드라이브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최태원 SK그룹 회장 역시 2022년 SK텔레콤 미등기 임원 신분으로 회장직을 맡은 바 있다. 오너 일가의 잇따른 SKT 미등기 임원 합류는 SK텔레콤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