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현지시간) 머스크 CEO가 이끄는 투자 컨소시엄은 오픈AI 지배 지분을 974억 달러(약 141조 원)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올트먼 CEO는 즉각 "사양하겠다"며 거절 의사를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이번 인수 제안이 단순한 해프닝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재 올트먼 CEO는 오픈AI의 중대한 전환을 위한 두 가지 프로젝트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하나는 오픈AI의 지배 구조를 비영리 단체 중심에서 영리 법인으로 전환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일본 투자 회사 소프트뱅크로부터 4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것이다.
비록 올트먼 CEO가 머스크 CEO의 인수 제안을 일축했지만 갑작스러운 거액 인수 제안은 그 자체만으로도 그가 추진 중인 두 프로젝트에 예상치 못한 난관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머스크의 인수 제안이 올트먼 CEO에게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트먼 CEO 또한 11일 WSJ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인수 제안은 머스크 CEO가 우리를 흔들고, 나아가 우리의 사업 추진 속도를 늦추려는 의도"라며 불편한 심경을 숨기지 않았다.
오픈AI의 지배 구조는 현재 비영리 법인 이사회가 영리 법인을 통제하는 형태로 이뤄져 있다. 올트먼 CEO는 이러한 구조를 완전히 영리 법인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비영리 단체에 일정 지분을 제공하고 통제권을 독립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오픈AI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는 비영리 법인의 직원은 단 2명이며 보유 현금 및 기타 자산은 2천200만 달러에 불과하다. 이는 영리 법인 전환 과정에서 비영리 법인에 지불해야 할 대가가 크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머스크 CEO의 인수 제안은 이러한 상황을 완전히 뒤바꿔 놓았다. 머스크 CEO가 제안한 인수는 오픈AI 지배 지분 즉 비영리 법인이 행사하는 통제권에 대한 것이다. 그는 비영리 법인의 통제권 가치를 974억 달러로 평가했으며 이는 향후 가치 평가의 최소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올트먼 CEO는 영리 법인 전환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비영리 법인에 머스크 CEO가 제시한 974억 달러 또는 그 이상의 '막대한' 가치를 보상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WSJ은 "예상치 못한 인수 제안이 오히려 오픈AI의 자산 가치를 재평가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엘렌 P. 애프릴 UCLA 비영리 법 연구원은 "비영리 이사회는 자산을 공정한 시장 가치로 매각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다"며 "머스크 CEO의 제안은 그 가치를 매우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만약 비영리 법인이 향후 오픈AI 영리 법인으로부터 머스크 CEO의 제안 가치보다 낮은 금액으로 지분을 양도받을 경우 규제 당국의 면밀한 조사와 법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이미 오픈AI는 영리 법인 전환 과정에서 법인 등록지인 델라웨어 주와 본사 소재지인 캘리포니아 주의 감시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머스크 CEO의 인수 제안이 오픈AI가 1년 넘게 추진해 온 기업 구조 개편에 상당한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머스크 CEO의 인수 시도는 오픈AI의 투자 유치 계획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프트뱅크는 오픈AI에 400억 달러를 투자하여 영리 법인 전환 시 상당한 지분을 확보할 예정이었다.
대규모 투자는 오픈AI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을 전제로 하지만 머스크 CEO의 개입으로 인해 오픈AI의 지배 구조와 법적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소프트뱅크 측에서 투자 계획을 재검토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NYT는 "머스크 CEO의 갑작스러운 인수 제안은 오픈AI의 추가 자금 조달 계획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머스크 CEO의 이번 인수 제안은 올트먼 CEO와의 오랜 '악연'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머스크 CEO는 올트먼 CEO와 함께 오픈AI 설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지만 2018년 이사직을 사임하고 투자 지분마저 모두 처분했다. 이후 오픈AI가 챗GPT를 공개하자 해당 AI 챗봇이 정치적으로 편향되었다고 비난하며 독자적으로 AI 스타트업 xAI를 설립했다.
뿐만 아니라 작년에는 올트먼 CEO를 포함한 오픈AI 창립자들을 상대로 "인류를 위한 AI 개발이라는 당초 약속을 어기고 영리 추구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소송을 제기하는 등 두 사람 사이의 갈등은 깊어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