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오픈AI, 딥시크 쇼크에 경량 고급 추론 모델 'o3-mini'로 응수

선재관 기자 2025-02-02 16:33:07
가성비와 안전성 앞세운 소형 AI 모델 출시 중국발 추론 AI 모델 R1에 정면 대응 美·中 AI 패권 경쟁 심화, 'o3-mini'로 추론 AI 시장 수성 나선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오픈AI가 추론 능력을 강화한 AI 모델 'o3'의 경량화 버전 'o3 미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오픈AI가 신규 고급 추론 AI 모델 ‘o3-mini’를 전격 공개하며 최근 급부상한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와의 정면 대결을 예고했다. 이는 딥시크가 추론 AI 모델 ‘R1’을 선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지 약 열흘 만의 일로 미국과 중국 간 AI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오픈AI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o3-mini 출시 소식을 알렸다. o3-mini는 지난해 9월 출시된 추론 AI 모델 ‘o1’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o3’의 소형 모델이다. o3는 응답 전 복잡한 사고 과정을 거쳐 인간의 두뇌처럼 논리와 판단 근거를 발전시켜 답하는 방식으로 한국어 번역과 물리학, 과학, 수학 분야에서 강점을 보인다. o3-mini는 o3를 경량화하여 연산 자원을 덜 소모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수학, 과학, 코딩 분야에서 이전 모델인 o1을 능가하는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미국 수학경시대회(AIME)에서 최대 87.3%의 정확도를 기록하며 o1의 83.3%를 뛰어넘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수학경시대회인 AIME 시험에서 o3 미니의 정확도 결과. 추론 자원을 적게 활용할 때(low) o3-미니는 o1-미니와 비슷한 성능을 달성하고, 중간 수준의 자원으로(medium) o1과 비슷한 성능을 달성한다. 한편, 많은 자원을 활용해(high)서는 o1을 능가하는 성능을 낼 수 있다. [사진=오픈AI 홈페이지]
이번 출시는 지난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예고했던 일정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딥시크의 R1이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제치고 1위에 오르는 등 돌풍을 일으킨 시점에 o3-mini가 출시되면서 업계는 이를 ‘딥시크 쇼크’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오픈AI가 그동안 최신 AI 모델을 유료 사용자에게만 제공했던 것과 달리 o3-mini를 챗GPT 무료 사용자에게도 개방한 것은 이례적인 조치다. IT 매체 테크크런치는 “고급 AI 모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는 오픈AI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며 “딥시크와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오픈AI는 딥시크를 의식한 듯 o3-mini의 ‘안전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오픈AI는 “o3-mini는 답변 생성 시 오픈AI의 안전 정책을 고려하도록 설계되었다”며 “탈옥(jailbreak) 평가에서 ‘GPT-4o’를 크게 앞지르며 보안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이는 데이터 전송, 개인정보 수집 등 보안 우려가 제기되는 딥시크와의 차별점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미국, 대만,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공공 부문 내 딥시크 AI 사용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탈리아는 애플과 구글 앱 스토어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한편 딥시크의 R1 개발 비용을 둘러싼 논란도 가열되고 있다. 딥시크는 R1 개발 비용이 557만 달러(약 81억원)라고 주장했지만 미국 반도체 연구 및 컨설팅 기업 세미애널리시스는 보고서를 통해 실제 비용이 약 5억 달러(약 73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은 오픈AI가 중국 기관에서 자사 AI 도구를 통해 모델 학습 데이터를 빼내려는 시도를 포착했다고 보도하며 딥시크의 R1 개발 과정에 오픈AI 데이터가 무단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반면 중국 관영 매체는 미국에서 딥시크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했다고 주장하며 맞불을 놓았다.

딥시크의 등장은 AI 패권 경쟁에 불을 지피며 생성AI 선두주자인 오픈AI의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샘 올트먼 CEO는 “우리는 분명히 훨씬 더 나은 모델을 제공할 것이며 새로운 경쟁자가 있다는 것은 합법적으로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하며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했다. 또한 “우리가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으며 다른 오픈소스 전략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오픈소스 방식에 대한 전향적인 태도를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