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무(無)오염·친환경이다. 반대로 화석연료는 연소 과정에서 탄소를 비롯한 각종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데다 열이나 소음도 발생한다. 이런 이유로 화석연료는 전기에 비해 전 단계에 있는 에너지원으로 평가받는다.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는 기관(Engine)의 발전 형태로 봐도 전기는 가장 발전된 에너지원이다. 인류가 처음으로 만든 기관은 외연 기관이다. 연료를 보일러에 넣고 태우는 방식인데 대표적인 형태가 증기 기관이다. 다음으로 나온 게 휘발유·경유 차량 등 내부에서 연료를 태우는 내연 기관이다. 마지막이 전기로 움직이는 전동기(모터)다.
외연 기관은 기관차 크기까지 축소하는 데 성공했지만 자동차 크기엔 맞추지 못했다. 결국 자동차는 내연 기관의 차지가 됐다. 내연 기관은 가전, 드론 등 소형 기기에서 모터에 자리를 내줬다. 이처럼 기기가 단순·소형·경량화될 수록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기화 추세에 맞춰 전력 사용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당 전력 사용량은 2012년까지 9331킬로와트아워(㎾h)였지만 2022년엔 1인당 1만652㎾h로 늘어났다. 10년새 1인당 전기를 14.2% 더 쓰게 됐다. 이런 상황에 인구는 줄어도 전기 사용량은 늘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다만 전기화 시대에 치명적인 모순점도 있다. 전기가 친환경이고 무궁무진한 에너지원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석탄·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를 태워 만드는 게 상당수라는 점이다. 국내 화석연료 발전 비중은 약 65%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인 50%대를 벗어나 있다.
이 때문에 친환경 발전으로 만드는 전기가 진짜 전기화에 걸맞다는 의견이 나온다. 수소와 같은 신(新)에너지와 태양광·풍력 등 재생 에너지가 주목받는 이유다. 발전 단계부터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를 만드는 게 전기화 시대의 새로운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