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한 단계 도약하려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보수적이고 조심스러운 태도에서 벗어나 ‘거침없는(ruthlessness)’ 면모를 보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영국의 권위 있는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17일(현지시간)자 온라인판에서 “지난 8월 가석방 출소로 자유로워진 이 부회장은 시스템 반도체 분야를 지배하기 위한 원대한 계획이 있다”며 “이 계획은 삼성뿐 아니라 한국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부회장의 출소가 국익에 부합한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정당화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이 부회장은 지난 2019년 '반도체 비전 2030'을 공언했다. 2030년까지 171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시장을 선도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지난 7일에는 3㎚(나노미터·10억분의1m) 공정에 GAA(Gate All Around) 기술을 도입하는 등 초미세 공정 로드맵을 선언했다. 내년 상반기 3나노 양산에 들어가면 세계 최초가 될 가능성이 크다. 2023년에는 3나노 2세대, 2025년에는 GAA 기반 2나노 공정을 양산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반도체 비전 2030이 성공하려면 이 부회장이 ‘거침없는’ 태도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예의 바르고 영리하지만, 아버지인 고(故) 이건희 회장보다 조심스럽고 보수적인 성향이 오히려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 신규 사업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코노미스트는 소식통을 인용해 "1990년대 후반 닷컴 버블 당시 벤처캐피털 회사인 이삼성(e삼성)에 투자했다가 실패한 (이 부회장의) 경험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 대한 회의감을 남겼다"며 "스마트폰, TV, 가전 등의 세트 사업과 함께 반도체·디스플레이 중심의 부품 사업을 병행하는 구조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부회장은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70%를 차지하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 가운데 '파운드리' 섹터에서 시장 점유율을 약 40%에 맞추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과의 경쟁은 물론 중국과의 관계도 고려해야 하는 입장에서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이 부회장이 할 일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삼성전자의 재무 성과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려면 '빅딜'을 시도해야 한다"며 "이 부회장의 선호도를 고려하면 인수합병 등 반도체 부문에 대한 투자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최근 부상하는 자동차 반도체 생산업체인 네덜란드 소재 NXP반도체 잠재적인 인수 대상이 될 수 있다고도 해석했다. 세트 사업과 부품 사업을 분리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 부회장의 성향으로는 과격한 옵션을 채택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매체는 또 "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TSMC와 대적하려면 이 부회장이 이른 시일 내에 나서야 한다"며 "지난해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밝혔으나 상당 기간 최대 주주로서 위치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영국의 권위 있는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17일(현지시간)자 온라인판에서 “지난 8월 가석방 출소로 자유로워진 이 부회장은 시스템 반도체 분야를 지배하기 위한 원대한 계획이 있다”며 “이 계획은 삼성뿐 아니라 한국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부회장의 출소가 국익에 부합한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정당화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이 부회장은 지난 2019년 '반도체 비전 2030'을 공언했다. 2030년까지 171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시장을 선도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지난 7일에는 3㎚(나노미터·10억분의1m) 공정에 GAA(Gate All Around) 기술을 도입하는 등 초미세 공정 로드맵을 선언했다. 내년 상반기 3나노 양산에 들어가면 세계 최초가 될 가능성이 크다. 2023년에는 3나노 2세대, 2025년에는 GAA 기반 2나노 공정을 양산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반도체 비전 2030이 성공하려면 이 부회장이 ‘거침없는’ 태도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예의 바르고 영리하지만, 아버지인 고(故) 이건희 회장보다 조심스럽고 보수적인 성향이 오히려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 신규 사업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코노미스트는 소식통을 인용해 "1990년대 후반 닷컴 버블 당시 벤처캐피털 회사인 이삼성(e삼성)에 투자했다가 실패한 (이 부회장의) 경험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 대한 회의감을 남겼다"며 "스마트폰, TV, 가전 등의 세트 사업과 함께 반도체·디스플레이 중심의 부품 사업을 병행하는 구조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부회장은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70%를 차지하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 가운데 '파운드리' 섹터에서 시장 점유율을 약 40%에 맞추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과의 경쟁은 물론 중국과의 관계도 고려해야 하는 입장에서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이 부회장이 할 일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삼성전자의 재무 성과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려면 '빅딜'을 시도해야 한다"며 "이 부회장의 선호도를 고려하면 인수합병 등 반도체 부문에 대한 투자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최근 부상하는 자동차 반도체 생산업체인 네덜란드 소재 NXP반도체 잠재적인 인수 대상이 될 수 있다고도 해석했다. 세트 사업과 부품 사업을 분리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 부회장의 성향으로는 과격한 옵션을 채택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매체는 또 "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TSMC와 대적하려면 이 부회장이 이른 시일 내에 나서야 한다"며 "지난해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밝혔으나 상당 기간 최대 주주로서 위치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