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의 2~4세 경영 세습은 사례를 다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유유제약은 지난 5월, 유승필 회장 퇴임 후 창업주 유특한 회장의 손자이자 유 회장의 장남인 1974년생 유원상 대표체제로 전환했다.
GC녹십자는 2세 허영섭 선대회장의 차남 허은철(1972년생)이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삼남 허용준(1974년생)은 녹십자홀딩스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한국콜마를 이끌고 있는 1974년생 윤상현 부회장은 윤동한 전 회장의 장남이며, 1976년생인 현대약품의 이상준 대표는 창업주의 손자이자 이한구 회장의 장남이다. 대표이사 사장 자리에 오른 것은 지난 2018년이다.
경동제약은 지난 6월 류덕희 대표이사 회장이 퇴임하며 1982년생인 류기성 대표이사 부회장이 단독으로 경영을 맡았다.
1969년생 최성원 광동제약 대표 역시 오너 2세 CEO 중 한 명으로, 광동제약 창업주인 최수부 회장의 외아들이다. 윤석근 일성신약 부회장의 장남인 윤종호 이사(1983년생)도 최근 주총에서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셀트리온그룹은 지난 3월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셀트리온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명예회장의 장남인 서진석 셀트리온 수석부사장을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 차남 서준석 셀트리온 이사를 셀트리온헬스케어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서진석 부사장은 1984년생, 서준석 이사는 1987년생이다.
이 같은 세습경영에 긍정적인 의견이 없진 않다. 유학파 출신의 다국적 제약사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2∙3세로의 세대교체를 통해 업계 전반에 쌓인 보수적인 이미지를 벗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비판적인 의견도 있다. 2∙3세의 경우 경영 능력이 검증되지 않았으며, 또 업계 특성상 장수 브랜드가 있으면 수십년간 회사 운영이 어렵지 않기에, 혁신적인 도전 대신 자식에게 물려주고 현실에 안주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최근 들어 많은 제약회사들이 오너 경영에서 전문경영인 체제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상위제약사들은 전문경영인 체제가 대세로 자리 잡았다. 회사 규모가 커지면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이다.
하지만 중견제약사들은 중장기 계획에 따른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하고 결정이 신속하다는 이유로 아직도 세습경영이 많은 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오너와 가족이 아니면서 CEO가 된다는 건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만큼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경영을 승계한 2∙3세들은 스스로 경영 능력과 리더십을 보여주며 불신을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