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마음 같아선 재차 연장을 시켜드리고 싶지만, 은행 입장에선 이자도 못 내는 업체의 부실까지 떠안는 격이라 부담되는 건 사실이죠."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나간 대출(이하 코로나대출) 만기가 임박한 것과 관련, 이같은 심정을 털어놨다.
경제적 타격을 입은 대다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기실행한 대출의 원금은 커녕 이자까지 연장하기에는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파급력이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로나대출의 원금 상환 만기와 이자 상환 유예는 지난 2월부터 이뤄져 기한은 다음달 말까지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이달 13일까지 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 35조792억원과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4조280억원, 이자 308억원 등을 모두 합하면 39조1380억원에 달한다.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지속됨에 따라 업체들은 코로나대출 만기의 재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당국 역시 이에 동조하는 분위기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최근 금융협회장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9월 재연장에 대한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의 기조가 확고한만큼 은행들은 겉으로 표시는 못하지만 대체로 속앓이를 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까지 상환을 못한다면 그 자체가 부실한 기업운영의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원금 유예는 실제 은행의 건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자를 감당하지 못 하는 경우라면 연체를 지속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현재까지는 이자 유예 규모가 308억원에 불과하나 유예기간이 끝났을 때는 상황이 달라져 결국, 은행의 건정성 지표가 악화될 거란 관측이 제시되고 있다.
은 위원장은 은행권의 이자 유예 요청사항을 인지하고 있어도 이에 대한 당국 차원의 별다른 대책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은 상태다. 그는 "(이자 유예와 관련) 크게 반대한 부분은 없었고, 유예 규모도 6월까지 쭉 줄어들고 있어 금융권 부담이 걱정하는 것만큼 크지 않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한 번도 겪어보지 않은 사태의 연속으로 모두 당황스러워 하고 있다"며 "당국도 아마 은행 사정을 모르는 게 아닐텐데, 이보다는 업체들 입장을 생각하는 게 급선무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나간 대출(이하 코로나대출) 만기가 임박한 것과 관련, 이같은 심정을 털어놨다.
경제적 타격을 입은 대다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기실행한 대출의 원금은 커녕 이자까지 연장하기에는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파급력이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로나대출의 원금 상환 만기와 이자 상환 유예는 지난 2월부터 이뤄져 기한은 다음달 말까지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이달 13일까지 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 35조792억원과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4조280억원, 이자 308억원 등을 모두 합하면 39조1380억원에 달한다.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지속됨에 따라 업체들은 코로나대출 만기의 재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당국 역시 이에 동조하는 분위기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최근 금융협회장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9월 재연장에 대한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의 기조가 확고한만큼 은행들은 겉으로 표시는 못하지만 대체로 속앓이를 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까지 상환을 못한다면 그 자체가 부실한 기업운영의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원금 유예는 실제 은행의 건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자를 감당하지 못 하는 경우라면 연체를 지속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현재까지는 이자 유예 규모가 308억원에 불과하나 유예기간이 끝났을 때는 상황이 달라져 결국, 은행의 건정성 지표가 악화될 거란 관측이 제시되고 있다.
은 위원장은 은행권의 이자 유예 요청사항을 인지하고 있어도 이에 대한 당국 차원의 별다른 대책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은 상태다. 그는 "(이자 유예와 관련) 크게 반대한 부분은 없었고, 유예 규모도 6월까지 쭉 줄어들고 있어 금융권 부담이 걱정하는 것만큼 크지 않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한 번도 겪어보지 않은 사태의 연속으로 모두 당황스러워 하고 있다"며 "당국도 아마 은행 사정을 모르는 게 아닐텐데, 이보다는 업체들 입장을 생각하는 게 급선무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