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은행이 9일 공개한 '2019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를 보면 설문에 참여한 금융 전문가 92명 중 74%는 주요 금융 리스크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을 꼽았다. 이어 '국내 경기둔화 지속'이 52%를 차지했다.
이밖에 글로벌 경기 둔화(40%), 가계부채 문제(40%), 중국 금융·경제 불안(39%) 등이 비슷한 비중으로 주요 위험 요인에 꼽혔다.
특히 전문가들은 미중 분쟁, 국내 경기둔화, 글로벌 경기 둔화는 단기(1년 이내) 위험 요인으로 꼽았지만 가계부채 문제와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중기(1~3년) 위험 요인으로 여기는 비중이 많았다.
같은 주제의 서베이가 지난 5월 실시됐지만 미중 무역분쟁을 최대 리스크로 꼽는 답변 비중이 67%에서 74%로 늘었고, 국내 경기둔화 지속을 선택한 비중은 66%에서 52%로 줄었다.
또 1년 내 금융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5월 4%에서 13%로 상승했으며 발생 가능성이 작다고 본 비중은 53%로 지난번(52%)과 유사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아령의 주말 장바구니] 가을 제철특가 한판승부…마트업계 할인 경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092006572914_388_136.jpg)



![[현장] 혁신·협력·신뢰로 100년을 향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70455508550_388_136.jpg)

![[속보] 코스피, 3940선도 뚫었다…최고치 경신](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44224964628_388_136.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