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아모레퍼시픽]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화장품(생활용품 포함)시장 규모와 브랜드별 점유율에서 아모레는 TOP10 순위에 들지 못했다.
1위는 로레알파리(3.6%)가 차지했고 바이체링 등 중국 브랜드들이 뒤를 이었다. 아모레는 이니스프리가 17위(1.1%), 라네즈가 37위(0.6%)에 각각 이름을 올렸다.
중국 화장품시장은 620억달러(약 73조원)로 미국(895억달러)에 이은 세계 2위다. 서 회장은 일찍부터 ‘중국은 반드시 가야하는 시장’이라며 중국 공략을 강조해왔지만 중국의 벽은 높았다.
아모레는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방어미사일체계) 문제 이후 부진이 10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다. 올 1분기 매출은 1조4513억원, 영업이익은 지난해 대비 21%가 빠져나간 1866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사업매출도 영업이익이 44% 감소한 459억원에 그쳤다.
이는 해외매출 비중(37%)이 높은 아모레가 중국시장에서 부진한 영향이 크다. 그러나 아모레는 사드 보복을 넘을 만한 혁신 상품이 없고, 제품 카테고리 확장 측면에서도 한계에 직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모레는 2002년 라네즈를 시작으로 2011년 설화수, 2012년 이니스프리, 2013년 에뛰드하우스로 중국 화장품시장을 공략해왔다. 올해 하반기에는 하반기 천연 화장품 브랜드 ‘프리메리’와 향수 브랜드인 ‘구딸 파리’로 출시할 예정이다.
LG생활건강이 사드쇼크 이후 럭셔리 프리미엄 제품으로 역량을 집중시키면서 빠르게 사드이슈를 극복하고 성장률을 회복한 것과 사뭇 다르다. 이에 서 회장도 중국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해 프리미엄 브랜드 진출 확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아모레퍼시픽 실적 추이[사진=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
실적이 탄탄한 글로벌 브랜드들은 마케팅 비용 부담을 기꺼이 짊어질 수 있지만 그에 비해 아모레는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이미 판매비와 관리비가 매출액의 70%를 상회하는 수준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시장 상황도 아모레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 이커머스 채널을 중심으로 한 중국 로컬 브랜드도 우후죽순 생겨나기 시작했다. 더불어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분위기 고조로 아모레의 숨통을 조여오고 있다. 아모레의 주가는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경색되기 시작한 지난달 들어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 달 사이 낙폭이 15%에 이른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이미 다양한 K뷰티 모방 제품이 나왔고 한국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업체를 활용한 중국 로컬 브랜드가 생겨 K뷰티의 독자적인 경쟁력이 상쇄됐다”며 “K뷰티가 아시아를 넘어서 글로벌 브랜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컬러 코스메틱, 바디케어, 헤어케어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저변을 넓히는 장기적인 고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APEC]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에 핵추진잠수함 연료공급 요청](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155254943565_388_136.jpg)
![[2025APEC] 트럼프 전 세계 무역합의 타결 중…한국과도 곧 타결할 것](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143043849983_388_136.jpg)
![[2025APEC] 최태원 APEC, 행동하는 공동체로 거듭나야…AI·공급망·기후위기 3B 전략 제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142624699350_388_136.jpg)

![[2025APEC] 이 대통령 AI 고속도로로 미래 연다…글로벌 기업 7곳, 한국에 13조 투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111343806275_388_136.jpg)
![[2025APEC] 이재명 대통령 AI는 지속가능한 발전 핵심… AI 이니셔티브 제안](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105108619940_388_136.png)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4년간 정보 공시 누락...자본시장법 위반 소지](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8/20251028105842174555_388_136.jpg)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104143996813_388_136.jpg)
![[2025APEC] CEO 서밋, 경주서 개막…역대 최대 규모 정상·기업인 총출동](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102017759711_388_136.png)
![[2025APEC] 4대 금융지주 회장·은행장, 경주로 총출동...K-금융 홍보 나선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101426919571_388_13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