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국회의원을 포함한 정부·지자체 고위 공직자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두 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보유 형태는 아파트 중심으로 집중됐으며 지역적 편차는 서울 특히 강남권으로 쏠린 것으로 분석됐다.
18일 리더스인덱스가 4급 이상 고위직 2581명의 재산 공개 내역을 분석한 결과 48.8퍼센트가 두 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 채 이상 보유자는 17.8퍼센트였다. 전체 재산 가운데 건물 자산 비중은 58.7퍼센트로 3조원대였으며 실거주가 가능한 주거용 부동산은 4527채 규모였다.
유형별 보유 현황을 보면 아파트가 전체의 58.9퍼센트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가액 기준으로는 76.7퍼센트에 달했다. 단독주택과 복합건물, 오피스텔 등이 뒤를 이었다. 직군별 평균 보유 주택 수는 정부 고위 관료가 1.89채로 가장 많았고 지자체장 1.87채, 지방의회 및 공공기관 직원 1.71채, 국회의원 1.41채 순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보유 지역은 서울과 강남권으로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소재 주택은 1344채로 전체의 29.7퍼센트였고 가치 기준으로는 57.6퍼센트였다. 서울 내에서는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에 41.5퍼센트가 몰려 있었다. 용산 역시 다수 보유 지역으로 확인됐다.
특정 인물이 보유한 주택 수 차이도 컸다. 조사 대상 중 최다 보유자는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으로 총 42채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원 가운데는 박민규 의원이 13채로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은 고위 공직자의 부동산 보유 행태가 시장과 정책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택 수만으로 단정적 해석을 하기보다는 지역 조세, 시장 접근성, 이해충돌 관리 등이 함께 검토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현장]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 릴리·GSK·사노피가 선택한 플랫폼…빅 딜 가능성 높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17/20251117153026577835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