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난닝=신화통신) 최근 한국의 매직 드로잉 가족극 '두들팝'이 광시(廣西)좡족자치구 구이린(桂林)대극원 무대에 올라 중국 관객들과 만났다.
낙서에서 모험이 시작되는 해당 작품은 동심의 시선으로 관객과 대화하며 상호작용과 창의 속에서 경계를 넘나드는 예술의 생동감을 펼쳐 보였다.
6살 아이와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관람객은 "낙서와 이야기가 결합된 공연은 처음"이라며 "창의적이고 시각적으로도 아름다워 특히 아이들이 좋아했다"고 말했다.
이번 두들팝 공연은 10월 24일~11월 2일 구이린에서 개최된 '2025 구이린예술제'의 공연 중 하나였다.
올해 '구이린예술제'는 세계연극교육연맹(WTEA)과 손잡고 연극 초청전을 열었다. 초청전에는 중국·한국·러시아·영국·미국·그리스·조지아 등 7개국의 대학 청년들이 한데 모여 구이린의 산수를 무대로 삼아 '꿈'과 '사랑'을 주제로 창작물을 선보였다.
이번 '구이린예술제'는 연극을 자연 경관에 녹여낸 창의적 기획으로 호평을 받았다. 세계 각지의 작품들이 이른바 '담 없는 극장'인 산수와 동굴 속에서 공연됐다.
고인범 부산 영화의전당 대표이사는 초청을 받아 이번 '구이린예술제'를 찾았다. 그는 "중국 연극인들이 나의 꿈을 실현했다"면서 "연극과 자연을 하나로 융합한 것은 정말 좋은 아이디어"라고 밝혔다. 이번 구이린 방문에서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이 연출한 산수 실경 공연 '인상·류싼제(印象·劉三姐)'도 관람한 그는 향후 중국 예술계와 더 깊은 연극 교류·협력을 진행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7월 25일 서울에서 열린 '2025 구이린예술제' 한국 특별 프로모션 현장에는 한국 연극계 대표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제의 국제적 영향력을 입증했다.
손정우 한국연극협회 이사장은 인사말에서 '구이린예술제'가 아시아 지역 첫 국제 발표회 개최지로 서울을 선택한 것은 한국 예술계에 대한 인정을 보여주는 것인 동시에 한·중 문화의 인연을 소중히 여긴 결정이라고 말했다.
손 이사장은 한·중 연극 교류는 두 오랜 문명의 영혼이 무대 위에서 공명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연극인은 민족 문화의 유전자를 당대 의제에 녹여내는 재주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창작 이념은 중국 연극인에게도 좋은 참고가 된다고 밝혔다. 반대로 중국의 희곡 미학과 사실주의적 전통 연극 역시 한국 연극의 발전에 새로운 영감을 준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단독] 정의선·정기선 손잡다, 현대 특허무효심판 승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5/20251105100052600894_388_136.jpg)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①] 팰리세이드 전부 리콜...싼타페·아이오닉6까지 73만대 돌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160340753737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