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금융

카드업계 순익 감소 와중 현대카드 실적 '두각'...2분기 연속 상승세

방예준 기자 2025-10-30 17:05:00

신한·우리카드 순익 20~40% 감소...판관비·대손비용 확대 영향

현대카드, 회원 수·프리미엄 회원 늘리며 비용 증가 상쇄

자료 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신한·삼성·우리카드 등 대부분 카드사의 3분기 실적이 수익성 악화·비용 부담으로 하락했다. 반면 2분기에도 실적 방어에 성공한 바 있는 현대카드의 3분기 실적은 10% 이상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각 사 실적발표에 따르면 신한·삼성·하나·우리카드 등 카드사의 3분기 순익이 나란히 감소했다. 신한카드의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은 1388억원으로 전년 동기(1734억원) 대비 22.9% 줄었다. 영업 수익이 1조3188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592억원) 대비 4.7% 성장했으나 지급이자, 판매비·관리비(판관비) 등 비용이 1000억원 가까이 늘어나면서 실적이 악화했다.

타 카드사도 실적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우리카드의 3분기 순이익은 300억원으로 전년 동기(566억원) 대비 47% 감소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370억원으로 전년 동기(736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이는 순영업수익이 2440억원으로 전년 보다 4.7% 줄어든 가운데 전산 업무비, 대손비용 등 비용부담도 커진 영향이다. 같은 기간 하나카드의 당기순이익은 598억원으로 전년 동기(678억원) 대비 11.8% 줄었다.

반면 현대카드는 지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실적이 성장했다. 현대카드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895억원으로 전년 동기(763억원) 대비 17.3% 늘었다. 같은 기간 누적 영업 수익은 2조7464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5426억원)보다 8% 증가했다. 영업 비용도 2조4177억원으로 전년 보다 1815억원 증가하면서 타 카드사와 같이 비용 부담이 높아졌으나 영업 수익 증가 폭이 더 컸다.

현대카드의 수익성 성장세는 상품 포트폴리오 다양화 및 고연회비 프리미엄 카드 중심의 우량회원 비중이 확대된  영향이다. 현대카드의 전체 본인회원 중 프리미엄 카드(연회비 15만원 이상) 회원 비중은 지난 2022년 2%에서 3분기 기준 3.4%까지 상승했다.

다만 건전성 지표는 전년보다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카드의 3분기 실질 연체율은 1.16%로 전년 동기(1.03%) 대비 0.13% 상승했으며 고정이하여신비율도 0.8%로 전년 동기(0.7%)보다 0.1%p 올랐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상품 라인업 강화를 통해 우량 회원 중심 회원수 증가와 함께 신용판매취급액이 성장세를 기록했다"며 "실수요자 중심의 금융상품 운영과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통해 연체율도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