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국내 1위 포털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가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해 큰 논란이 일었다. 일본 정부의 왜곡된 주장이 국내 대표 플랫폼의 AI 답변에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AI 기술의 신뢰성과 검증 시스템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0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공론화했다. 서 교수에 따르면 네이버 검색창에 '일본 영토'를 검색할 경우 AI 요약 서비스인 'AI 브리핑'이 "일본의 영토는 독도(다케시마), 북방영토, 센카쿠 열도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라는 답변을 내놨다. 일부 답변에서는 독도를 일본 영토로 포함하면서 '한국과 영유권 분쟁 중'이라는 표현까지 사용했다.
원인은 AI가 일본 정부 기관의 자료를 우선적으로 학습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AI 브리핑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 공식 문서 등을 주요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는데 '일본 영토' 검색어에 대해서는 주한일본대사관 홈페이지에 게재된 일본 외무성의 공식 자료를 최우선으로 인용한 것이다.
서 교수는 "챗GPT 등 해외 AI에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는 문제는 지속해 항의해 왔지만 국내 대표 포털에서 이 같은 오류가 나온 건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네이버는 즉시 시정하고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네이버는 즉각적인 조치에 나섰다. 네이버는 "문제 사실을 인지한 즉시 해당 검색 결과에 대한 AI 브리핑을 삭제했다"고 밝혔다. 이어 "질의 내용에 더욱 적합한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AI 브리핑이 생성될 수 있도록 면밀히 살피며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AI 시대 정보 주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웠다. 특히 국가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대해 국내 플랫폼마저 제대로 된 필터링 없이 해외의 왜곡된 정보를 유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AI 모델의 학습 데이터 검증과 서비스 운영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APEC] 시진핑, 11년 만의 방한…미중정상회담서 펜타닐 관세 10%P 인하](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141706428909_388_136.jpg)



![[2025APEC] 경총 한미 관세협상 타결 환영…첨단산업 협력 전환점 될 것](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111555693514_388_136.jpg)

![[2025APEC] 트럼프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한미동맹 핵심 파트너 강조](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073151276365_388_136.jpg)


![[2025APEC] 젠슨황 엔비디아 CEO, 30일 방한…이재용·정의선과 서울서 회동](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083619652247_388_13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