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산업

이부진도 결국은 대치맘…재벌가도 자식교육에 '올인'

조재훈 기자 2025-10-30 08:18:03

대치동서 학군 마치고 복귀…삼성·신세계·한화 등 재벌가 교육열 '활활'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최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자택으로 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자녀의 학군을 고려해 강남구 대치동으로 거주지를 옮겼던 이 사장이 다시 '삼성가 타운'으로 복귀한 셈이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이 사장은 아들의 휘문고 졸업 시점에 맞춰 최근 이태원동으로 주소지를 이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 사장은 아들의 중·고교 시절 동안 대치동에 머물며 학업을 챙겨온 것으로 알려졌다"며 "현재는 자녀의 학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가족 거주지를 본래의 이태원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 사장의 이태원 복귀는 삼성가의 전통적 거주지로 돌아간다는 상징성과 함께, 재벌가의 '교육 중심형 거주 이동'이라는 흐름을 다시 한번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재벌가 자녀 교육은 국내 명문 사립학교와 해외 명문대로 이어지는 '정해진 코스'로 불린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자녀들이 과거 영훈초등학교에, 이부진 사장의 아들이 경기초등학교를 졸업한 것이 대표적이다.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의 자녀들 역시 숭의초등학교를 다녔다.

이같은 사립학교 선호 현상은 단순한 학력 경쟁뿐 아니라 인맥 형성과 가치관 교육, 글로벌 진출 기반을 염두에 둔 선택으로 분석된다. 해외 유학 역시 재벌가 자녀 교육의 또 다른 축이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아들들은 미국 명문 사립고 세인트폴스를 졸업하고 하버드대·예일대 등에서 학업을 마쳤다. SK그룹 최태원 회장의 두 딸은 각각 시카고대와 베이징대에서 수학하며 글로벌 감각을 키웠다. LG 일가에서도 시카고대·조지워싱턴대 등 특정 대학에 동문이 집중돼, 학연을 통한 네트워크가 대물림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재벌가의 자녀 교육은 국내 명문 학군 중심의 '내신형 코스'와 해외 명문 중심의 '글로벌형 코스'로 양분되는 추세란 목소리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가를 비롯한 주요 그룹들은 자녀 교육을 단순한 개인의 진로 문제가 아닌 '가문의 경영 승계 준비' 차원으로 인식한다"며 "국내 최고 학군과 해외 명문대를 병행하는 전략은 경영 글로벌화 시대의 필수 과정"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