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네이버, 최수연 대표 직속 'R-TF' 신설…AI·디지털트윈 사업화 속도

선재관 기자 2025-10-13 18:30:10

네이버랩스 잠재력 깨운다…'미래기술'로 돈 번다

[사진 = 네이버]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등 연구개발 단계에 머물던 미래 기술의 본격적인 사업화를 위해 칼을 빼 들었다. 

최수연 대표 직속으로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고 경쟁사 핵심 임원까지 영입하며 글로벌 B2B·B2G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이해진 창업자의 경영 복귀 이후 글로벌 확장에 사활을 건 네이버의 승부수가 될지 주목된다.

13일 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최근 CEO 직속 조직인 ‘R-TF’를 신설했다. 이 조직은 네이버의 선행 기술 연구개발을 전담해온 네이버랩스의 기술과 연구 성과를 실제 사업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동안 원천 기술 개발과 사업화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구글·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와 본격적으로 경쟁하기 위한 포석이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전 부사장(미래이동연구소장 겸 미래사업실장) [사진=유대길 기자]

TF장은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가 직접 맡아 기술과 사업의 유기적인 결합을 이끈다. 특히 카카오모빌리티에서 자율주행과 로봇 사업을 총괄했던 장성욱 전 부사장을 리더급으로 영입하며 실행력을 강화했다. 미래 기술 사업화에 대한 네이버의 강력한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R-TF가 사업화할 핵심 기술은 네이버랩스가 축적해 온 ‘공간지능’ 기술이다. AI가 3차원 물리 공간을 인지하고 상호작용하는 이 기술은 디지털 트윈과 자율주행의 근간을 이룬다. 네이버는 이미 실내외 인식 기술 ‘아크 아이’, 3D 구현 기술 ‘어라이크’ 등을 통합한 플랫폼 ‘트윈XR’을 개발해 올해 6월 사우디아라비아 3개 도시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하는 성과를 냈다.

지금까지는 네이버페이 부동산 VR 투어, 네이버 지도 거리뷰3D 등 자사 서비스에 기술을 적용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앞으로 R-TF는 제2사옥 ‘1784’와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검증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B2B·B2G 사업 확장을 주도하게 된다. 업계에서는 향후 피지컬 AI와 같은 차세대 기술의 사업화 역시 R-TF가 맡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조직 신설은 이해진 창업자의 복귀 이후 글로벌 확장 전략이 가속화하는 흐름 속에서 이뤄졌다. 기술 개발에만 머무르지 않고 이를 실제 수익으로 연결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네이버의 전략적 변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