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에 투자 정보나 전략을 묻는 ‘AI 재테크’가 유행하는 가운데 국내 성인 10명 중 6명은 이러한 흐름에 뒤처질까 봐 불안감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AI가 새로운 부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과 함께 기술에 대한 이해 부족이 ‘나만 뒤처지고 있다’는 고립감 즉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최근 국내 20~60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생성 AI 확산에 따른 AI 불안 경험’ 설문조사에서 AI 재테크 유행에 잘 적응하지 못해 불안하다는 답변율은 59.1%로 집계됐다. 이는 ‘AI 기반 업무 지식 습득’(67.2%)에 대한 불안감보다는 낮았지만 ‘자녀의 AI 학습·교육’(54.9%)에 대한 불안감보다는 높았다.
특히 30대에서 불안하다는 응답이 64.5%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양정애 연구위원은 “30대가 사회·경제 활동의 초기 단계에서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크고 AI를 잘 활용하려는 수요도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자산 형성의 ‘골든타임’을 보내고 있는 30대가, AI라는 새로운 변수가 가져올 부의 격차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 재테크에 생성 AI를 사용한다는 응답자도 전체의 35%에 달해 AI 재테크가 이미 상당수 투자자의 일상에 들어와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금융 전문가들은 중요한 투자 판단을 AI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조언한다. AI가 사실과 다른 정보를 그럴듯하게 말하는 ‘환각(Hallucination) 현상’의 위험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학습 데이터에 따라 모델마다 고유의 편향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전문가는 “AI가 내놓는 투자 조언은 결국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 확률적 예측일 뿐 미래를 보장하는 수정 구슬이 아니다”라며 “특히 특정 모델이 어떤 데이터로 학습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그 답변이 특정 방향으로 편향됐을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고 경고했다.
결국 ‘AI 재테크’는 새로운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품고 있다. 기술의 발전을 외면할 수는 없지만 그 기술이 제시하는 답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은 또 다른 위험을 낳을 수 있다. AI가 던져주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최종적인 판단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때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