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반도체 제국의 엔비디아와 생성형 AI의 선두주자 오픈AI가 140조원 규모의 천문학적인 투자로 손을 잡았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사실상 누구도 넘볼 수 없는 거대 AI 인프라를 구축, 다가올 범용인공지능(AGI) 시대의 패권을 선점하겠다는 승부수를 던졌다.
엔비디아는 22일(현지시간) 오픈AI와의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하고 최대 1000억 달러(약 140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의 목표는 오픈AI의 차세대 AI 모델 학습과 배포를 위한 전용 데이터센터를 짓는 것이다. 그 규모는 원자력 발전소 10기에 해당하는 10기가와트(GW) 수준으로 현존하는 데이터센터의 상식을 뛰어넘는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이 프로젝트는 거대한 프로젝트”라며 규모를 직접 설명했다. 그는 “10기가와트는 400만~500만 개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적용되며 이는 엔비디아가 올해 출하할 총량과 같고 작년 대비 두 배”라고 말해 이번 투자가 엔비디아의 생산 역량을 총동원하는 전사적 프로젝트임을 시사했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투자 협약을 넘어 AI 산업의 두 거인이 미래를 건 ‘혈맹’을 맺었음을 의미한다. 양사는 이날 의향서(LOI)를 체결했으며 수주 내로 세부 사항을 확정할 예정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엔비디아가 이번 거래를 통해 오픈AI의 지분 일부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해 양사의 결속이 더욱 공고해질 것임을 암시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컴퓨팅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엔비디아와 함께 구축하고 있는 것을 활용해 새로운 AI 혁신을 창출하고 이를 대규모로 사람들과 기업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혀 이번 인프라가 미래 AI 서비스의 핵심 동력이 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천문학적인 투자금은 단계적으로 투입된다. 첫 100억 달러는 1기가와트 규모의 컴퓨팅 설비가 배치되는 시점에 집행되며 내년 하반기 가동될 1단계 인프라에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칩인 ‘베라 루빈(Vera Rubin)’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는 이번 파트너십이 단순한 현세대 기술의 확장이 아닌 미래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포석임을 보여준다. 이번 빅딜로 엔비디아는 최대 고객을 확고히 묶어두고 오픈AI는 AI 경쟁의 핵심인 컴퓨팅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며 양사 모두 압도적인 경쟁 우위를 점하게 됐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