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과 KT가 연이어 터진 대규모 해킹 사태로 신뢰에 큰 타격을 입은 가운데 이동통신 3사 중 유일하게 ‘해킹 청정구역’을 고수하고 있는 LG유플러스가 시장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차별화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견고한 실적과 강화된 사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신용등급 전망이 상향 조정됐지만 한편으로는 정부의 ‘인지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이번 조사가 오히려 LG유플러스의 보안 안정성을 공인받는 시험대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시장에서는 ‘긍정적’ 평가…“사업경쟁력 강화”
시장은 LG유플러스의 성장세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17일 LG유플러스의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알뜰폰(MVNO)을 포함한 무선통신 가입자 점유율이 2015년 말 20.2%에서 올해 6월 27.4%까지 꾸준히 상승하는 등 핵심 사업의 경쟁력이 강화됐다는 평가다. 한신평은 단통법 폐지 이후에도 마케팅 경쟁이 과열되지 않고 있어 5G 도입 이후 확대된 이익창출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 속에서 정부의 조사는 LG유플러스에게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10일 ‘프랙(Phrack)’ 보고서 등을 근거로 LG유플러스에 대한 ‘인지조사’에 착수했다. 이는 LG유플러스의 협력사인 ‘시큐어키’가 해킹 피해를 신고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는 현재까지 “자체 점검 결과 협력사를 통해 본사 서버로 침입한 흔적은 없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비밀번호는 일방향으로 암호화돼 복호화하는 게 불가능하고 자사 서버 침투 흔적도 없다”며 협력사의 피해가 자사 시스템의 침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선을 긋고 있다.
결국 이번 정부의 인지조사는 LG유플러스의 주장이 사실인지를 공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이 될 전망이다. 만약 조사 결과에서도 ‘침해 흔적 없음’이 최종 확인된다면 LG유플러스는 경쟁사들과 달리 강력한 보안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공인받게 되어 시장의 신뢰를 한층 더 확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기업이 고의로 신고를 지연하거나 누락할 경우 과태료를 강화하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지난 19일 브리핑에서 “보안 없이는 디지털 전환도 AI 강국도 사상누각에 불과하다”며 “임시방편 대응이 아닌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정부의 강경한 기조 속에서 LG유플러스가 ‘해킹 무사고’라는 타이틀을 지켜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