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이슈

이재명 대통령, 강릉 가뭄에 사상 첫 '자연재난 사태' 선포…'해수 담수화' 장기대책 지시

선재관 기자 2025-08-31 13:50:03

이재명 대통령, 가뭄 현장서 '희망' 아닌 '실질 대책' 주문

저수지 바닥 보이자…강릉 가뭄 현장서 나온 '특명'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원 강릉시 성산면 오봉저수지를 방문해 가뭄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코노믹데일리] 전례 없는 최악의 가뭄이 덮친 강원도 강릉시에 사상 처음으로 ‘자연 재난 사태’가 선포됐다. 지역의 핵심 수원인 오봉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자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현장을 찾아 단기적 총력 대응을 지시하는 한편 기후 변화 시대의 근본적 해법으로 ‘해수 담수화’ 카드를 꺼내 들었다.

31일 기준, 강릉시 생활용수의 90% 가까이를 책임지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15% 선마저 무너졌다. 이는 사실상 저수 기능이 마비 상태에 이른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강릉시는 전날부터 오봉저수지를 통한 농업용수 공급을 전면 중단했으며 아파트를 포함한 5만3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수도 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3단계 제한 급수에 돌입했다. 도시 기능이 멈춰 설 수 있는 일촉즉발의 위기다.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8일 순방에서 귀국한 지 이틀 만인 30일, 곧바로 강릉으로 향했다. 메마른 흙바닥을 드러낸 오봉저수지를 직접 둘러본 이 대통령은 즉각적인 재난 사태 선포와 함께 국가소방동원령 발령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소방 탱크차량 50대가 긴급 투입돼 하루 약 2000톤의 비상 식수를 공급하는 등 총력 대응 체계가 가동됐다.

이 대통령은 현장에서 단순히 상황을 보고받는 데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비상 대책의 부재를 강하게 질타했다. 김홍규 강릉시장이 “9월은 비가 올 거라 굳게 믿고 있다”고 하자, 이 대통령은 “평균적으로 비가 오겠지만 안 올 경우 사람 목숨을 갖고 실험할 수 없지 않나. 불편한 것은 견딜 수 있는데 정말 대책 없는 비상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안일한 기대를 경계하고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을 거듭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오봉저수지 외 저수지는 없는가” “인근 평창 도암댐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등 날카로운 질문을 이어가며 단기적 대책을 꼼꼼히 점검했다. 또한 전국 지자체를 향해 “공동체 의식을 갖고 식수 기부에 동참해달라”고 호소하며 쓰레기 문제를 고려해 소형병보다 대형병 위주로 지원해달라는 실무적인 지시까지 내렸다.

 
강릉 가뭄 현장 점검하는 이재명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원 강릉시 성산면 오봉저수지를 방문해 가뭄 대응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번 현장 방문의 백미는 단기적 처방을 넘어선 장기적 비전 제시였다. 이 대통령은 대책회의에서 “혹시 바닷물을 담수화할 생각은 해본 적 없느냐”며 화두를 던졌다. 김 시장이 “얻는 양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든다”고 답하자 이 대통령은 기후 변화 시대의 근본적인 해법 마련이 시급함을 역설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물 부족 문제는 저수지를 계속 만든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언젠가는 (물이) 고갈될 텐데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바닷물은 무한대로 있고 수질도 좋다. 바다 인근에 지으면 원수 확보는 필요 없고 정수시설만 필요하지 않나. (비용이) 더 쌀 것 같다”며 구체적인 논리를 제시했다.

이는 강릉의 가뭄 사태를 지역적 문제를 넘어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대비하는 국가적 과제로 격상시킨 것이다. 이 대통령의 제안에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비용을) 계산해서 보고드리겠다”고 답하며 해수 담수화는 단순한 아이디어를 넘어 공식적인 검토 과제로 추진될 것임을 시사했다. 대통령실 관계자 역시 “우리 기업들의 관련 기술력도 상당한 만큼 장기 과제로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