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SKT '운명의 날'…개인정보 유출에 '역대급 철퇴' 내려지나

선재관 기자 2025-08-28 06:00:00

SKT 개인정보 유출 과징금 오늘 판가름

개인정보위 SKT 제재안 심의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지난 27일 전체회의에서 대규모 고객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한 SK텔레콤(SKT)에 대한 제재안을 심의하고 있다. 이르면 이날 과징금 부과 등 최종 처분이 확정될 수 있어 관심이 쏠린다. 구체적인 과징금 액수와 제재 수위는 위원들의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대리점.[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대규모 고객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낸 SK텔레콤의 제재 수위가 이르면 이날 28일 결정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27일 전체회의를 열어 SK텔레콤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건에 대한 제재안을 심의했으며 그 결과를 이날 오후 공개할 예정이다. 

최종 결정이 내려졌을 경우 개인정보위는 브리핑을 통해 구체적인 과징금 액수와 처분 내용을 발표한다. 다만 위원회 심의 과정에서 추가적인 자료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면 최종 결정은 다음 회의로 미뤄질 수 있다.

앞서 개인정보위는 지난 4월 22일 조사에 착수, SK텔레콤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조치 의무를 충실히 이행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심사해왔다. 

통신업계의 시선은 과징금 규모에 집중된다. 개인정보위가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분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만큼 역대 최대 규모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은 위반 행위와 관련된 매출의 3%까지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SK텔레콤의 지난해 무선통신사업 매출(12조7700억원)을 기준으로 하면 이론상 최대 3000억원대 중반의 과징금도 가능하다.

물론 피해자 구제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등 SK텔레콤의 사후 조치가 참작될 경우 실제 제재 수위는 1000억 원 안팎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지금까지 개인정보위가 부과한 단일 기업 최대 과징금은 2022년 구글에 매긴 692억원이다.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한정하면 지난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유출 건으로 카카오에 부과된 151억원이 최고액이었다. 이번 SK텔레콤에 대한 처분은 향후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의 과징금 산정 기준을 새로 쓰는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