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정부가 인공지능(AI) 시대의 ‘게임 체인저’로 꼽히는 양자기술 육성을 위한 국가 차원의 10년 청사진을 연내 수립한다. 특히 우리 강점인 AI와 양자기술의 융합을 통해 후발주자의 약점을 극복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뒷받침할 100큐비트급 국산 양자컴퓨터 개발도 오는 10월 본격 착수된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1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열린 ‘퀀텀 프론티어 전략대화’에서 “다른 나라보다 늦은 감이 있지만 AI와 양자기술의 융합을 통해 우리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올해 말까지 미래 10년을 내다보는 ‘양자종합계획’을 수립하겠다”며 기존 기초연구 중심에서 벗어나 R&D와 상용화, 산업생태계를 잇는 통합 전략으로의 전환을 예고했다.
이러한 비전을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성과도 공개됐다. 표준연은 최근 시연에 성공한 20큐비트 양자컴퓨터에 이어 내년 목표로 50큐비트급을 개발 중이며 오는 10월부터는 ‘양자과학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00큐비트급 개발에 돌입한다. 100큐비트 양자컴퓨터는 슈퍼컴퓨터가 1000년 이상 걸릴 문제를 수 분 내에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특히 이번 개발에는 연산 오류를 스스로 감지하고 수정하는 ‘오류정정 기술’이 국가 R&D 사업 최초로 적용된다.
배 장관은 AI 시대의 폭발적인 연산 수요와 전력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양자컴퓨터를 지목했다. 그는 “AI의 연산 처리 문제를 5~10년 뒤에도 기존 GPU 등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고민인데 양자컴과의 결합이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AI와 양자 융합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삼성SDS 등 산업계와 KAIST 등 학계 전문가들 역시 AI와 양자 융합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들은 글로벌 공급망 진입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기업 육성, 소프트웨어 시장 선점, 전문인력 양성 등을 주요 과제로 제안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요청했다. 배 장관은 “오늘 논의된 분야별 특화 전략과 퀀텀+AI 등 핵심 과제들이 양자종합계획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화답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