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사업 부문의 견조한 성장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SK텔레콤은 12일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4조4537억원, 영업이익 567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5% 소폭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13.8%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3616억원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 측은 "매출의 경우 지난해 일부 자회사 매각 영향으로 소폭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AI 데이터센터(DC)와 AI 전환(AIX) 등 AI 관련 사업의 성장이 증가 폭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AI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AI DC 사업은 데이터센터 용량 증설과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1.1% 성장한 102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분기 매출 1000억원대 성장 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
AIX 사업 역시 AI 클라우드 매출 증가와 기업간거래(B2B) 영역에서의 AI 마케팅 신규 수주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2% 성장한 45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AI 개인비서 서비스 '에이닷'은 누적 가입자 900만명을 넘어섰고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AI 에이전트 '에스터'는 지난 3월 말 미국에서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으로 하반기 정식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기업용 AI 서비스 '에이닷 비즈' 또한 상반기 중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다만 이번 1분기 실적에는 지난달 발생한 유심 정보 해킹 사고로 인한 재무적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 증권가에서는 유심 교체 비용, 신규 가입자 유치 중단, 가입자 이탈 등으로 인해 2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타격이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8일까지 SK텔레콤에서 타 통신사로 번호이동한 고객은 27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은 유심 정보 해킹 사고와 관련해 후속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비정상인증시도 차단 시스템(FDS)을 최고 수준으로 격상 운영하는 한편 12일부터 해외 로밍 고객도 유심보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실물 유심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정보 변경만으로 동일한 보안 효과를 내는 '유심 재설정' 솔루션도 도입했다.
11일 기준 유심 무료 교체를 완료한 고객은 147만명에 달한다. 또한 외부 전문가와 고객이 참여하는 '고객 신뢰회복 위원회'를 구성해 보안 체계 강화 및 고객 보호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1분기 배당금은 주당 830원으로 결정됐으며 배당기준일은 오는 31일이다.
김양섭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를 계기로 사업과 경영 전반을 되돌아보고 본원적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회사의 모든 역량을 고객 보호에 집중해 지난 40여 년간 이어 온 SK텔레콤의 신뢰를 변함없이 지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