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지하터널 붕괴 사고와 관련해 20대 근로자가 사고 발생 13시간 만에 구조됐다. 그러나 다른 근로자 1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12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굴착기 기사 A씨는 전날 오후 3시 13분쯤 발생한 사고로 지하 30미터 지점에 고립됐다가 이날 오전 4시 27분께 구조됐다. 사고 발생 13시간 만이다.
A씨는 의식이 명확했고 구조대와의 대화도 가능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이며 현재 정밀 검사를 위해 병원으로 이송된 상태다. 구조대는 초기부터 A씨와 전화 통화를 유지하며 위치를 파악했고, 목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이 접근했지만 중장비를 투입하기 어려운 구조적 환경 때문에 구조에 시간이 걸렸다.
이번 사고는 광명시 일직동 양지사거리 인근 신안산선 제5-2공구 지하터널과 상부 도로가 무너져 발생했다. 이 구간은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이었다.
사고 당시 현장에는 총 18명의 근로자가 있었으며 초기에는 5명의 연락이 끊겼다. 이 가운데 3명은 곧바로 안전이 확인됐고 A씨는 구조됐다. 나머지 1명은 포스코이앤씨 소속 50대 근로자로 현재까지 실종 상태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휴대전화 위치 추적 등을 통해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사고 이후 광명시는 2차 붕괴 가능성을 우려해 인근 주민들에게 긴급 대피를 지시했다. 대피 대상은 아파트 642세대 2300여 명과 오피스텔 거주자 144명 등 총 2400여 명에 달한다. 주민 대부분은 시가 마련한 시민체육관과 관내 초중고 7곳의 대피소로 이동해 밤을 지새웠다.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전날 현장 브리핑에서 “사고 현장 인근 아파트에 계측기를 설치해 안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다”며 “어제와 오늘 사이에 이상 징후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전문가들과 계측 결과를 검토한 뒤 입주 재개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는 사고 직후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했으며 신안산선 민간투자사업 시행사인 ㈜넥스트레인도 현장에 사고수습본부를 설치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형사과를 중심으로 사고 원인에 대한 기초 조사에 착수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