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한한령' 해제 눈앞…中 게임 시장 공략에 날개 달릴까

이지환 수습기자 2025-02-24 15:19:10

이르면 5월 한한령 해제 기대감 고조…게임업계 수혜 예상

2022년부터 판호 발급 완화 추세…지난해 11건

넥슨·NC·시프트업 등 올해 중국 출격…중국산 게임과 경쟁 불가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중국 정부가 이르면 오는 5월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을 전면 해제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게임업계의 중국 시장 공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이르면 다음 달 국내에 문화사절단을 파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시작으로 문화 교류를 확대하고 상반기 내 한한령을 해제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규연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오는 5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MRT)에서 한국과 중국의 중점 협력 과제로 '콘텐츠 개방'이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한한령이 전면 해제되면 국내 게임업계가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글로벌 게임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게임 시장 규모는 1236억 달러(약 176조3277억 원)로 미국과 함께 글로벌 게임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방대한 이용자층과 높은 매출 규모를 바탕으로 국내 게임사들에게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넥슨은 지난해 5월 출시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이 중국 시장에서 대성공을 거두며 중국 지역 매출이 전년 대비 63.3% 증가한 약 1조4700억원을 기록했다.

넷마블과 펄어비스도 각각 ‘제2의 나라: 크로스월드’와 ‘검은사막’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한 바 있다. 

국내 게임사가 중국에 게임을 출시하려면 중국 정부로부터 ‘판호’(게임 서비스 허가권)를 발급받아야 한다. 중국 정부가 2022년 이후 판호 발급 규제를 점진적으로 완화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한한령 시행 이후 국내 게임의 판호 발급 건수는 △2017년 1건 △2018~2019년 0건 △2020년 1건 △2021년 2건 △2022년 8건 △2023년 9건 △2024년 11건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한령이 해제되고 판호 발급이 원활해지면 국내 게임사의 중국 시장 진출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넥슨은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흥행을 이어가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올해 ‘던전앤파이터’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퍼스트버서커: 카잔’,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등 다양한 신작을 중국에 선보일 예정이다.

시프트업은 ‘승리의 여신: 니케’의 중국 출시를 앞두고 있다. 최근 사전 예약자 수가 300만명을 돌파하며 흥행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엔씨소프트도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블레이드 앤 소울2’와 ‘리니지2M’을 중국에서 서비스할 계획이다.

다만 중국 게임사의 기술력과 게임성 향상이 두드러지는 만큼 국내 게임사의 성공 여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한한령이 해제되더라도 기술력이 크게 발전한 중국 게임사들과의 경쟁이 불가피하다"며 "단순한 시장 진출만으로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한령 해제와 판호 발급 규제 완화는 국내 게임사들에게 분명한 기회다. 그러나 중국 게임사의 경쟁력이 높아진 만큼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전략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