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는 신진 브랜드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시장 확대, 다양한 규모의 파트너사와의 협업 모델 구축, 소비자 트렌드 선도 등 CJ올리브영의 핵심 역량을 조명했다.
특히 '유통사는 상생 기반의 장기적 파트너십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이재현 CJ 회장의 경영철학이 K뷰티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CJ올리브영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히는 MD 협의체 운영 방식, 전국 1350여 개 매장과 온라인 플랫폼을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옴니채널 전략, 트렌드 중심의 매장 운영 방식 등을 상세히 소개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은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CJ올리브영의 성공 전략을 심층 분석하고,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 등에 대한 토론을 벌일 수 있도록 했다.
이번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재 채택은 CJ올리브영이 K뷰티 산업을 선도하는 핵심 기업으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CJ올리브영 관계자는 "카테고리 채널로는 유일하게 하버드 경영대학원 사례연구에 채택됐다"며 "중소기업 브랜드의 성장이 곧 올리브영의 성장이라는 마음가짐으로 K뷰티 브랜드의 성장에 부스터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