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이 유럽연합(EU)의 미래 경쟁력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며 AI 기술 발전을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올트먼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3차 AI 국제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지난 8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 르몽드에 기고한 글에서 마리오 드라기 전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지난해 9월 발표한 ‘EU 경쟁력의 미래’ 보고서를 인용하며 이같이 밝혔다.
드라기 전 총재는 이 보고서에서 EU가 미국·중국과 경쟁하려면 연간 7500억∼8000억 유로(한화 약 1114조∼1188조원)의 신규 투자가 필요하며 전반적인 개혁이 급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올트먼은 AI 기술 발전과 투자가 개혁의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는 "AI가 의료 진단을 개선하고 과학 연구 속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학습을 돕는 등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영역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이것이 우리가 현 시기를 '지능의 시대'의 시작이라고 보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AI의 생산적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성장 △일자리 창출 △건강 증진 △교육 혁신 △과학 발전 등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이 부분에서 올트먼은 프랑스가 AI 연구 개발과 인재 양성에 적극 투자하고 강력한 컴퓨팅 인프라를 갖춘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원자력 발전을 활용해 AI 인프라에 안정적인 전력을 제공하는 점도 강점으로 언급했다.
그는 "프랑스는 이러한 정책을 통해 혁신을 촉진하고 비즈니스가 번창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다른 유럽 국가들도 이를 참고해야 한다"면서도 "다만 EU 전체가 같은 전략을 채택할지는 불확실하다"고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어 유럽의 AI 규제 방향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올트먼은 AI 규제법 시행을 준비 중인 EU가 과도한 규제에 집중할 경우 미래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혁신과 개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 마련을 강조하며 "성장과 일자리, 발전을 원한다면 개발자와 혁신가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AI 규제가 지나치면 경쟁에서 뒤처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것이다.
한편 EU는 세계 최초로 포괄적 AI 규제법을 제정해 2026년 8월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