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국금융연구원은 은행 점포 이용을 위해 최소한 이동해야 하는 거리의 지역별 격차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발표는 '들로네 삼각분할'이라는 연구 방법을 통해 얻은 삼각형들의 외접원 반지름으로 소비자 이동 거리의 지역별 차이를 파악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부산, 대전은 1km를 넘지 않는 반면, 그 외 지역은 20km가 넘는 지역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원, 전남, 경북은 최대 27km에 달했다.
점포 이용 시 이동 거리 상위 30곳을 보면 대부분 20km가 넘고 대체로 지방 중소도시나 군 단위 지역이 많았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고령층 비중이 높은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에 금융연은 지역의 고령화 수준이 높을수록 은행 점포 접근성이 낮아져, 디지털화에 가장 취약한 계층이자 물리적 점포 의존도가 높을 수 있는 고령층의 금융 소외는 계속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은행 점포 폐쇄가 소비자들의 금융서비스 접근성 하락으로 이어지며 지역에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들을 인식함에 따라 해외 주요국들은 은행 점포 폐쇄와 관련된 규제를 도입해 왔다. 필라델피아 연준의 보고서에서는 지점 폐쇄가 커뮤니티의 은행 서비스 접근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지역 커뮤니티 간 서비스 접근성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하기도 했다.
금융연은 이런 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지역 내 금융소비자들의 물리적 이동 거리의 변화 등을 반영한 폐쇄 영항평가와 절차 등에 대한 정책적 보완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시연 금융연 연구원은 "지역경제와 지역 내 금융소비자들의 금융 소외를 빠르게 심화시킬 것으로 크게 우려되지는 않는지에 대해 정책당국이 판단하거나 조치를 차별화할 수 있는 근거를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며 "소비자들의 이동거리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지역의 고령화 수준 같은 인구 구조적 특성, 비도시·비수도권 여부 등에 따라 은행의 점포 폐쇄 절차를 차별화하는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