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생활경제

"전분업부터 급식업까지"…사조그룹, '광폭 M&A' 힘 발휘할까

김아령 기자 2024-06-28 22:09:53
[사진=사조대림]

[이코노믹데일리] 사조그룹이 올해 광폭 인수합병(M&A)에 나서며 몸집을 거대하게 부풀리고 있다. 지난 2월 미국계 전분당업체인 ‘사조CPK’(옛 인그리디언코리아)에 이어 최근 연매출 1조원 규모 식자재·위탁급식 업체인 ‘푸디스트’를 인수하면서다.
 
사조그룹은 적극적인 M&A로 올해 매출 6조원 5년 내 10조원 기업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사조그룹은 푸디스트 인수로 기존 농수축산, 식품 제조에 이어 식자재·급식까지 아우르는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하게 된 가운데, 경쟁사 ‘대상’을 제치고 식품업계 3위에 올라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사조그룹은 지난 24일 VIG파트너스가 보유한 식자재 및 위탁급식 업체 푸디스트 지분 99.86%을 2520억원에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사조그룹 계열사인 사조오양과 사조CPK가 공동으로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각각 800억원, 1720억원을 투자한다.
 
이번 인수는 지난 2월 사조CPK(옛 인그리디언코리아) 지분 전량을 3840억원에 인수한 지 약 4개월 만에 추진하는 대형 M&A다. 인그리디언 코리아는 1906년 미국 뉴저지에서 설립돼 식품 소재 솔루션을 120개국에 제공해온 글로벌기업 인그리디언의 한국지사다.
 
천연원료인 옥수수, 감자 등을 사용해 전분과 당, 그리고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차별화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 보유하고 있다.
 
사조CPK 인수 당시 사조그룹은 사실상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사조산업이 아닌 사조대림을 인수주체로 내세웠다. 사조대림이 그룹의 식품 사업을 총괄하는 계열사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딜에서 사조대림이 아닌 자회사를 주체로 인수에 나선 배경은 앞서 진행된 사조CPK 인수 과정에서 대규모 차입금을 조달했기 때문이다. 이에 추가적인 차입 규모를 늘리기엔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인수가 완료되고 나면 사조CPK와 사조오양이 각각 푸디스트 지분 68.16%, 31.7%를 보유하게 된다.
 
푸디스트는 국내 6위 식자재 유통·위탁 급식 기업이다. VIG파트너스는 지난 2018년 식자재 마트인 윈플러스를 인수하고, 2020년 한화호탤앤리조트에서 분사한 식자재유통·단체급식 사업부문을 합병해 푸디스트를 세웠다. 작년 매출은 1조291억원, 영업이익은 75억원을 기록했다.
 
사조그룹은 이번 인수로 농축수산 등 1차 산업 전 영역을 아우르고, 식품·유통 부문에서 국내 28개 공장을 보유한 식품 밸류체인을 구축하게 됐다. 1차 산업에서의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과 구매력 강화, 그룹 전반의 제품 포트폴리오와 브랜드 전략을 수립해 계열사 간 시너지를 키운다는 방침이다.
 
식품업계 순위 변동도 주목된다. 지난해 식품그룹 매출 순위(운송기업 제외)는 CJ, 동원, 대상, 사조 순이었다. 3위 대상그룹(5조2594억원)과 4위 사조그룹(4조1295) 간 격차는 1조원이 넘었다.
 
하지만 올해 사조그룹이 작년 매출 4244억원을 기록한 사조CPK와 1조원을 넘긴 푸디스트를 연달아 품게 되면서 전체 매출이 1조5000억원가량 늘어나게 됐다. 각 기업이 올해 작년 수준의 매출을 올리게 될 경우 사조그룹은 대상그룹을 제치고 3위에 올라서게 될 예정이다.
 
사조그룹 관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올해 매출 6조원을 달성하고, 5년 내 연 매출 10조원의 외형을 갖출 것”이라며 “푸디스트 인수로 식품 사업 간 시너지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