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지난달 30일 발간한 ‘중국에 뒤처진 조선업 가치사슬 종합경쟁력과 새로운 한국형 해양전략 방향’에서 한국의 조선산업 가치사슬 종합 경쟁력 1위를 지난해 중국에 내줬다고 밝혔다.
복합 산업인 조선업은 하나의 기준으로 경쟁력을 파악하기 어려워 산업연구원은 가치사슬 구조 분석을 통해 경쟁력을 평가하고 있다. 조선산업의 가치사슬은 R&D·설계, 조달, 생산, AM(유지·보수)·서비스, 수요 등 총 5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한국의 가치사슬 종합경쟁력은 88.9점으로 90.6점을 기록한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줬다. 한국이 조달과 R&D·설계 부문에서는 중국을 앞선 반면, 수요와 AM·서비스와 생산 부문에서 크게 뒤쳐졌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인력 부족으로 생산 능력이 더디게 회복되면서 생산 부문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이은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조선업이 장기 불황을 겪는 사이 관련 인력들이 많이 빠져나갔다”며 “생산 뿐 아니라 설계, 엔지니어링 관련 기술 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중국은 2021년 이후 조선업 가치사슬을 이루는 모든 부문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조선산업에 투자하면서 한국이나 일본 대비 충분한 생산 여력을 확보한 중국 조선소들은 다양한 선종·선형을 대량 수주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중국의 조선업 종합경쟁력 1위는 중국 정부의 오랜 ‘해양 굴기’ 노력에 따른 결과다. 중국은 2002년 중국공산당 제16차 당대회 보고에서 해양 진출 의지를 밝히며 본격적인 해운산업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이에 따라 현재 중국 조선소 발주 잔량과 상선 선복량은 세계 1위에 올라섰고, 군함 수에서는 2015년 세계 최강인 미국을 앞질렀다.
보고서는 중국 조선업이 양적 경쟁력뿐 아니라 질적 경쟁력까지 확보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벌크선, 컨테이너선, 유조선 수주량이 많지만 한국 조선사들이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가스운반선 수주 비중도 최근 10~20%에 이르렀다.
이처럼 중국이 한국을 빠르게 추격해 오고 있는 가운데 오랫동안 논의 수준에만 그쳤던 조선·해운·국방·금융 등 관련 사업을 아우르는 ‘한국형 해양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연구위원은 “중국과의 가격 경쟁이 지속되는데 개별 산업 입장에서만 전략을 세우기보다 해양전략이라는 대국관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한국의 부족한 수요 및 AM·서비스 부문을 우방국과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면 한국 조선산업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만들고 기술과 생산 역량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