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데일리동방DB]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달 3일 10개 신용대출 상품의 우대금리를 최대 0.6%P, 주택담보대출 우대금리도 0.5%포인트 올렸다.
우대금리 인상은 작년 말부터 예고됐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관리 차원에서 축소했던 우대금리를 일부 복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대금리가 최대 0.6%포인트 부활했지만 대다수 금융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 금리 변화는 사실상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우대금리 인상과 함께 가산금리도 올렸기 때문이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 산정 과정에서 은행이 대출자 신용도 등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를 말한다.
우리은행은 이달 3일 ‘우리아파트론’ 변동금리 상품의 가산금리를 2.80%에서 3.26%로 0.46%포인트 높였다. 같은 상품 고정금리의 가산금리도 2.60%에서 3.07%로 0.47%포인트 올렸다.
은행이 가산금리를 임의로 갑자기 크게 올리면 금융소비자들은 시장금리 등 지표금리 동향만으로는 자신의 대출 금리를 예측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산금리를 한꺼번에 0.5%포인트 이상 올리는 일은 은행권에서 보기 드물다”며 “해당 은행이 우대금리 부활로 대출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 수요가 몰려 관리가 어려워질 것을 우려해 가산금리를 그만큼 크게 올려 대출금리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한 것 같다”고 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단독] 정의선·정기선 손 맞잡고 현정은은 왕따?, 범현대 특허무효심판 승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5/20251105100052600894_388_136.jpg)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①] 팰리세이드 전부 리콜...싼타페·아이오닉6까지 73만대 돌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160340753737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