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25일 이 부회장 측 변호인은 “이 부회장이 이번 판결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재상고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지난 18일 서울고법 형사1부(부장판사 정준영 송영승 강상욱)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이 선고됐다.
특별검사 측도 재상고를 하지 않아 이 부회장 실형은 확정됐고 이미 복역한 약 1년을 제외한 1년 6개월 수감생활을 해야 한다.
지난 2017년 2월부터 약 1년간 복역으로 리더십 공백을 겪은 삼성그룹은 이 부회장이 가석방 등 중간에 풀려나지 않으면 내년 7월까지 이 상황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
특히 지난 2017년 복역 당시보다 현재 대내외 상황이 더 좋지 않아 반복된 총수 부재에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사태 지속으로 글로벌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은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으로 새로운 정부가 출발했다. 신정부 출발에 맞춰 사업 전략 구상이 무엇보다 필요한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지난해부터 현대차・SK・LG 등 4대그룹은 굵직한 인수합병(M&A)과 투자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삼성은 이 부회장 복역으로 총수의 결단이 필요한 대규모 투자가 불가능할 수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삼성은 지난 2016년 하만 인수 이후 그렇다할 M&A가 없는 상태다.
재계 한 관계자는 “경영은 기존 시스템에 따라 CEO가 할 수 있지만, 총수는 누가 대신할 수 없는 자리”라며 “총수가 없는 상황에서 M&A 등 대규모 자금이 투입돼야 할 미래 성장전략을 임기가 정해진 CEO가 단독으로 결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뿐 아니라 우수 인재 확보에서도 총수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다르다”며 “이 부회장 공백이 길어지면 삼성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뒤처질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